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5.04.21(월)

[美, 한국제품 관세 ‘폭탄’ 확산] 철강업체, 반덤핑 예비관세에 시름

기사입력 : 2017-12-19 06:00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자국 기업 보호로 한국산 철강제품 씨 말린다”

[美, 한국제품 관세 ‘폭탄’ 확산] 철강업체, 반덤핑 예비관세에 시름이미지 확대보기
[한국금융신문 유명환 기자] 국내 철강업계가 미국 정부로부터 막대한 관세를 부과받고 있다. 최근 한국산 철강 선재에 대한 예비 반덤핑관세를 4배로 높인 지 한 달 만에 또다시 스탠더드 강관에 약 40%의 예비 반덤핑관세 폭탄을 퍼부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닫기트럼프기사 모아보기 행정부 출범 이후 한국산 철강제품에 대한 전방위로 규제 대상이 확대되고 있어 업계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19일 철강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최근 한국산 스탠더드 강관에 대한 고율의 반덤핑관세 예비판정을 내렸다.

업체별로 보면 현대제철이 38.16%로 가장 높고 넥스틸과 세아제강이 23.17%로 뒤를 이었다. 스탠더드 강관은 배관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철강제품으로 지난해 대미 수출 규모는 약 2400만달러다.

같은 제품에 대해 1%대 반덤핑관세를 부과했던 앞선 판정과 대조되는 결과다. 미 상무부는 넥스틸·세아제강 등이 수출하는 스탠더드 강관 물량에 대해 1.20%의 반덤핑관세를 부과해왔다. 수출량이 거의 없던 현대제철에는 아예 반덤핑관세를 매기지 않았다.

잇따른 미국의 통상 규제에 철강 업계는 전전긍긍하고 있다. 불과 한 달 전 미 상무부는 한국산 철강 선재에 매겼던 10%의 반덤핑 예비관세를 40%로 대폭 상향 조정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자국 철강 업계 이해관계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협상까지 맞물려 있다 보니 한국산 철강제품의 씨를 말릴 듯 뒤지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반덤핑은 미국에 이어 캐나다까지 확산되고 있다. 캐나다 국경관리청(CBSA)은 지난 5일(현지시간) 한국산 탄소강과 합금강 송유관(carbon and alloy steel line pipe)에 대한 반덤핑조사 최종 판정을 내렸다.

이번 조사 대상 품목은 한국에서 생산되거나 수출되는 외경 60.3mm 이상, 609.6.mm(24인치) 이하의 탄소강과 합금강 용접관 및 무계목강관 송유관(carbon and alloy steel line pipe)이다.

CBSA의 판정 결과에 따르면 우선 휴스틸은 국내 기업들 중 가장 낮은 4.1% 반덤핑 관세가 결정됐다. 그 다음으로는 넥스틸이 12.9%를 부과받았다. 세아제강에게는 27.5% 덤핑 마진이 결정됐으며, 현대제철은 47.8% 관세가 책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CBSA는 지난 9월 8일 본 제품에 대해 반덤핑 예비판정을 내린 바 있다. 당시와 비교하면 휴스틸(4.7%)과 넥스틸(16.5%)은 관세율이 낮아진 반면, 세아제강(6.5%)과 현대제철(32.2%)은 대폭 늘어나 부담이 커졌다.

유명환 기자 ymh7536@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issue

유명환 기자기사 더보기

산업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