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금융위원회는 다음 달 1일 인천 송도에서 '한·중·일 금융감독당국 부기관장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2011년 개최된 이래 3국이 순번을 바꿔 개최 장소를 정해왔다.

금융위에 따르면 이번 회의의 핵심 주제는 가상화폐 규제다. 가상화폐는 제도권 주식시장 거래량을 능가하는 수준의 투자처로 떠올랐다. 하지만 탈세수단, 범죄자금 등으로 악용되는 등 국제적인 문제로 거론되고 있다.
3국은 모두 가상화폐를 법화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반면 가상화폐 규제에 대한 시각은 각기 다르다.
전날 김용범 부위원장은 국회 가상화폐 정책 토론회에 참석해 "가상통화 거래를 성급하게 제도화하기보다 소비자 보호, 자금세탁 차단, 과도한 투기 방지가 필요하다"며 "가상통화 현상과 기술의 명암을 차분히 평가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은 지난해 자금결제법을 시행하고 거래소 11곳을 전면 승인했다. 단일화된 거래 루트를 열어줘 통제 가능한 범위 내에 두려는 목적이다. 하지만 등록제 후 투기성 거래가 증가하고 가상통화 변동성이 확대됐다는 비판도 일고 있다.
핀테크 정보업체인 BTC 미디어의 존 리긴스 아시아영업 헤드는 "중국의 (규제) 상황은 중국의 거래를 장외시장으로 몰아냈다"면서 "(중국 장외시장은) 비교적 활발하고 유동성이 있다"고 말했다.
구혜린 기자 hrgu@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