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24 대책 발표 직후 서울·부산 등을 제외한 지역에서의 미분양, 계약 포기 발생 가능성이 커졌다고 부동산 업계는 우려한다. 현재도 강남 등 서울지역으로의 쏠림이 심한데 실수요자들의 주택 구매 자금 확보 문턱을 높인다면 이 같은 현상은 더 짙어질 것이라는 의견이다.
이어 "금융규제를 또 다시 강화한 10.24 대책 발표로 인해 지역별 분양시장 양극화는 더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건설사의 실수요자 금융지원 제도 중 하나인 '시공사 중도금대출 보증' 적용도 지역별 양극화 행보를 따라갈 가능성이 크다. 현재 삼성물산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건설사들은 시공사 중도금대출 보증을 적용하고 있다.
10.24 대책으로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강화돼 재무적 부담이 큰 이 제도 적용 단지를 선별하는 과제가 생긴 상황이다. 즉, 수익성이 높은 서울에는 아룰 적용하지만 나머지 지역에서는 적용을 꺼리는 가능성이 커졌다는 얘기다.
대형 건설사 한 관계자는 "시공사 중도금대출 보증 시행 단지 선정에 고심이 더 커진 상황"이라며 "수익성이 보장된 단지는 과거와 마찬가지로 시공사 중도금대출 보증을 적용하겠지만, 나머지 지역에서는 적용에 좀 더 신중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등 정부부처가 발표한 10.24 대책의 주요 골자는 다음과 같다.
신DTI 보다 강화된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내년 하반기부터 적용된다. DSR은 모든 대출의 원리금을 부채상환비율 책정 요소로 설정한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