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한국은행 자료에 의하면 2013년 3분기 이후 증가세 확대로 2015년 2분기 말 1,130조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한 수치다. 가계부채 중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가장 크고 주택담보대출, 기타대출(신용대출 등), 판매신용 모두 증가세가 확대되었다.
우리 정부는 현재의 가계부채를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판단하고 있다. 상환능력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소득 4~5분위 고소득 가구가 전체 가계부채의 70%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계층은 금융 부채보다 금융 자산이 2배 이상 많고, 실물까지 포함한 총자산은 총 부채 대비 5배 이상 된다.
그렇다고 우리나라 가계부채 문제를 가볍게 여길 수만은 없다. 총량이 지속적으로 증가중이고 부채상환능력은 약화추세이기 때문이다. 경제가 성장하면서 가계부채도 늘어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과거와 같은 소득증가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부채 속도가 늘어나는 것은 문제가 된다. 특히 우리나라 가계부채의 핵심은 양보다는 그 내용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종사상지위별로 살펴보았을 때, 자영업자 가구가 부채규모 및 재무건전성 측면에서 가장 취약했다. 우리나라의 자영업자 비율은 27.4%(2013년)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15.8%보다도 높다. 부채규모(2014년 기준 8,995만원)가 타 가구 대비 가장 컸고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및 부채비율, 금융자산 대비 부채 비율도 자영업자 가구가 가장 취약했다. 문제는 대부분의 자영업자가 일반 근로자보다 근로시간은 길고 소득은 적은 생계형이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게다가 이들은 생활비를 목적으로 대출을 받기도 한다.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단기적으로 볼 때 크게 부실화 될 가능성은 적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문제의 핵심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은퇴 후 생계형 창업 및 폐업, 빈곤층의 생활자금 대출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질 좋은 일자리 확대와 안정성일 것이다. 갑작스러운 은퇴로 직장에서 밀려나 경쟁이 심한 자영업에 내몰리는 것을 막고, 안정적인 소득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사회구조가 필요하다. 어렵지만 정도가 최선의 방법이다.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FN온라인팀 기자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