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관계당국에 따르면, 저축성보험의 중도 인출에 대한 비과세 혜택 중단은 납입보험료가 1억원이 넘는 상품으로 제한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은퇴자 위주로 납입보험료 계약금액 1억원 이하의 저축성보험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 상품은 원금과 이자를 매달 함께 나눠 받는 종신형과 매달 이자만 받고 원금은 일정기간이 지나거나 계약자가 사망하면 돌려주는 상속형으로 나뉜다. 이 중 상속형은 고액 자산가들이 세금을 내지 않기 위해 악용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따라 지난해 8월 정부는 즉시연금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전면 폐지하기로 했다. 그러나 납입보험료 계약금액 1억원 이하가 저축성 보험의 53%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 등이 거론되면서 역풍을 맞았다.
하지만 국회 기획재정위원회가 ‘서민층에 충격이 가지 않는 선에서 시행령을 고쳐달라’는 부대의견을 내자 이를 참고해 1억원 이하 비과세로 조정하는 것이다. 그간 생명보험업계는 협회를 중심으로 국회 재정위에 업계의견을 강하게 피력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지난 대선을 일주일 앞둔 12월 12일에는 보험대리점협회를 내세워 국회의사당 앞에서 ‘저축성보험 비과세 축소 철회’집회를 열기도 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장기저축성 보험의 이자 소득(보험차익)에 대한 비과세 조항을 담은 세법 시행령 개정안은 이달 중 입법예고 돼 업계의 의견 수렴을 거칠 것”이라고 말했다.
최광호 기자 ho@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