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사들은 2002년 이후 10년가까이 금리 역마진 해소 노력을 했지만 아직도 6% 수준의 평균부담이율을 안고 있다.
지난 1997년 일본 굴지의 보험회사 닛산생명이 이차역마진을 감당하지 못하고 파산했다. 이후 2001년 도쿄생명까지 총 7곳의 생명보험사가 같은 이유로 문을 닫았다. 이들은 역마진 해소를 위해 주식, 해외증권, 부동산 등 고위험 투자 자산에 투자했지만 오히려 이게 독이 돼 파산을 앞당겼다. 닛산생명은 손실 만회를 위해 파생상품에까지 손을 댔다가 돌이킬 수 없는 지경이 됐다.
국내 금융환경 역시 저금리가 장기화되고 있고, 더구나 장기적으로 추가 금리 인하의 가능성까지 안고 있다. 따라서 한 중소생보사 대표는 “일본 금융업계도 금리가 떨어지는 동안 매번 3% 바닥론, 2% 바닥론 등이 나오며 ‘금리가 설마 더 떨어지겠냐’는 안일한 생각을 했다”며, “지금 우리 환경도 일본의 저금리 시점과 비슷해 장기적으로는 제로금리까지 가정하고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 금리확정형 상품이 아킬레스건
보험사 이차역마진의 주된 원인은 금리 확정형 상품이다. 손보업계는 금리확정 상품의 비중이 12.5%수준인 반면, 생보업계는 53.6%(159조원)에 달한다. 더구나 이 중 6%대 확정이율이 10.8%(19조1000억원), 7%대가 44.2%(76조6000억원), 8%대 7.9%(14조1000억원) 등으로 총 보험료적립금 중 확정형 6%이상이 약 35%에 달하는 상황이다. 이를 해소하지 못한채 저금리가 심화되면 대규모 적자사태를 면치 못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
최광호 기자 ho@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