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번 대선 후보들은 공히 경제민주화와 복지 확대를 주요 공약으로 들고 나왔는데, 주요 대형보험사들이 경제민주화의 타깃이 되는 주요 재벌 대기업의 계열사인데다, 특히 복지확대는 기존 민영보험사에서 보장해온 담보들과 부딪히는 부분이 커, 보험업계의 대선에 대한 관심도는 그 어느 때 보다 높은 상황이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의 경우에는 연간 환자 본인 부담금 100만원 상한제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저소득층의 건강보험료 보조 △암 환자 호스피스 지원 확대 등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정리하면 박근혜 후보의 공약은 암과 심혈관질환 등 4개의 중증 질환에 대해서는 건강보험이 전액을 부담하지만 다른 질병에 대한 개인의 부담은 기존과 동일하다.
특히 박 후보 공약의 4개 중증 질환은 지금도 95%를 건강보험에서 담보하고 있어, 이를 5%P 높이는 것에 불과해, 의료 확대가 사실상 현상 유지 수준으로 보험업계에 영향은 없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보험연구원 김대환 고령화연구실장은 “문재인 후보의 의료비 100만원 상한제가 실현된다면 실손의료비보험 시장은 없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1년에 100만원이면 가족 중에 환자가 발생해도 한 달에 10만원이내의 치료비만 부담하면 되는 것으로 굳이 실손의료보험을 들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 보험사 고위 관계자도 “양 후보 모두 영향이 있겠지만 특히 문 후보의 의료비 100만원 상한제 공약이 실현된다면 사실상 실손의료비보험과 같은 건강 담보 상품은 효용성이 없어질 것”이라며, “보험사 입장에서는 상당한 타격이 예상되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관계자는 “보험업계가 힘들더라도 국민 복지가 향상된다는 큰 틀에서 봤을 때 후보자들의 복지공약을 비판만 할 수 있는 일은 아니고, 다만 새로운 먹거리를 찾아야 하는 고민이 생기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광호 기자 ho@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