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과 하나금융이 차기 은행장의 인선작업이 속도를 내면서 금융권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우리, 경남, 광주은행장과 하나금융이 인수예정인 외환은행장의 차기 후보의 이름이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인사기용 가능성을 두고 설왕설래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인사에서는 이팔성 우리금융 회장과 김승유 하나금융 회장이 모두 연임한 가운데 굵직한 현안을 앞두고 있는 만큼 회장들의 의중이 적지 않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금융은 지난달 18일 우리은행장, 광주은행장, 경남은행장 등 자회사 차기 행장 선임을 위한 행장후보추천위원회(행추위)를 개최한 가운데 오는 4일까지 공개모집과 헤드헌터사 추천을 통해 지원서를 마감한다. 행추위는 지원서 접수가 마감되는 대로 서류심사와 후보자 인터뷰 등의 일정을 조속한 시일 내 진행해 최종 후보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가장 관심이 쏠리고 있는 차기 우리은행장자리는 우리금융 민영화 과제를 함께 풀어나갈 수 있는 경영파트너 역할은 물론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은행 조직체질 개선을 위한 친밀감과 장악력 등 굵직한 현안들을 함께 추진해 나갈 인사가 관전 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현재까지
이순우닫기
이순우기사 모아보기 우리은행 수석부행장, 윤상구 우리금융 전무와 김정한 우리금융 전무 등이 거론되고 있다.
경남은행장은
박영빈닫기
박영빈기사 모아보기 직무대행의 연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박 직무대행은 은행 내부사정에 밝고 꼼꼼한 스타일로 지난해 금융사고 후유증과 민영화 중단 등에 따른 여파로 이완된 경남은행의 조직을 조기에 추스릴 수 있는 최적임자로 평가를 받고 있어 차기 행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하나금융도 3일 경영발전보상위원회(경발위)를 열고 3월말 임기만료인 지주회사 사장, 하나은행장과 외환은행장 등의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김종열 사장과
김정태닫기
김정태기사 모아보기 행장은 연임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환은행장에는 윤용로 전 기업은행장과 최종석 전 하나은행 부행장, 이상돈 외환은행 기업자본시장사업본부 부행장 등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김승유 하나금융 회장이 최근 제시한 외환은행장에 필요한 자질로 영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 정도의 글로벌 감각, 금융산업에 대한 식견, 60세 이하의 젊은 나이 등 세 가지로 꼽으면서 윤 전 행장이 적합하다는 평가다.
김성희 기자 bob282@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