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대신, 외환은행 대주주 적격성에 큰 타격을 입힐 만한 변수로 꼽혀온 외환카드 주가조작 혐의는 일부 정황들이 포착되면서 론스타 주변에 먹구름이 드리워지는 양상이다.
29일 검찰 및 금융계에 따르면 검찰은 외환은행이 반드시 매각해야할 만큼 심각한 상황이 아닌데도 변양호 전 금융정책국장과 이강원 전 행장이 공모해 헐값 매각에 이르게 한 것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어 론스타의 대주주 자격엔 직접적 영향은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지금으로선 그동안 몸통으로 지목됐던 금융감독당국이나 청와대에 대한 의혹과 론스타의 직접 개입여부는 여전히 규명하지 못한 채 수사가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그동안 금융계 일각에서 기대했던 ‘론스타 헐값매입 개입 규명→론스타 사법처리→외환은행 대주주 적격성 재심사→자격 박탈 후 지분 강제 매각’ 수순을 밟을 가능성은 옅어진다.
그러나 외환은행과 외환카드의 합병과정에서 외환카드에 대한 주가조작 의혹은 상황이 다르다.
게다가 투기자본감시센터와 외환카드 노동조합은 지난 9월 주가조작 혐의에 대해 론스타를 검찰에 고발한데 이어 오늘(30일) 법원에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낼 예정이다.
외환카드 주주였다가 많게는 수천만원대의 손해를 본 소액주주 6명을 주축으로 해 소송을 준비했다.
센터는 피해금액이 500~600억원 정도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센터 한 관계자는 “감자설이 나오기 이전 6700원(03.11.17종가)이었던 외환카드 주가는 11월26일엔 2550원으로 폭락했고 결과적으로 합병과정에서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가격이 4004원으로 결정돼 소액주주들은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손해배상 청구소송 이후 론스타의 외환은행 지분에 대한 가처분신청도 검토하고 있어 론스타의 입지가 더욱 좁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론스타가 최근 국민은행과의 매각계약을 파기하면서 외환은행의 고배당 가능성이 높아진 가운데 만약 가처분신청이 법원에 의해 받아들여진다면 앞으로 있을 배당은 물론이고 지분매각에도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검찰의 외환카드 주가조작 혐의에 대한 검찰 수사와 함께 법원의 손해배상 소송 및 앞으로 있을 가처분 신청 등에 대한 판단이 론스타의 향후 행보에 큰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원정희 기자 hggad@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