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장 측근 인사들이 임원으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등 과거 인사 관행이 그대로 재현되면서 농협법 개정 취지를 무색케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역 안배 차원의 나눠먹기식 인사 관행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먼저 전무이사 및 신용대표로 거론되는 후임자들이 이미 지난해 임기 만료된 데다 모두 회장 비서실장 출신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무이사의 경우 지난해 임기만료된 사업부문 대표이사가, 신용 및 농업경제 대표도 대부분 비서실장 출신들이 거론되고 있다는 것.
정관이 정한 신용대표이사 자격요건은 축산 경제를 제외한 업무를 10년 이상 수행한 자로 돼 있으나 이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여기에 후임자들이 대부분 영호남 출신으로 과거 지역 안배 인사 관행이 그대로 답습되고 있다는 관측이다. 경남 출신인 정대근 회장이 호남 지역 반발을 의식해 영호남 지역 안배 인사를 자행하고 있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농협 직원들마저 회장 측근 인사 철폐 및 임원 전문성 강화를 주장하며 노골적인 불만을 토로하고 있는 실정이다.
“유력인사 대부분 회장 측근에 비전문가” 의혹 일어
영호남 지역안배 관행 여전 농협법 개선 취지 무색
농협 한 관계자는 “회장이 자신의 측근은 물론 전문성이 떨어지는 인사들을 임원으로 선임할 가능성이 높다”며 “해당 사업부문에 대한 폭넓은 지식이 없는 인사가 제대로 업무를 수행할 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금융계에서는 농협이 이번 농협법 개정의 핵심인 상임 회장의 비상임 전환 등 지배구조 개선을 통한 경쟁력 제고라는 취지가 무색하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과거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회장의 권한이 측근들에게 그대로 이관되는 반면 임원들의 전문성은 떨어져 경쟁력 약화는 불보듯 뻔하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향후 사업본부제 도입 등 조직 개편 과정에서 경쟁력 강화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계 한 관계자는 “이번 임원인사가 농협의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첫 단추”라며 “시작부터 과거의 구태의연한 관행이 답습되면 향후 조직개편 과정에서 진정한 개혁을 기대하기는 힘들다”고 지적했다.
한편, 농협중앙회 노동조합은 지난 23일 정대근 회장실를 점거하고 임기만료 임원 선임 배제, 전문성 제고, 지역안배 인사관행 철폐 등을 강력 주장하고 있다. 노동조합은 이러한 요구사항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회장 퇴진운동은 물론 대의원 회의 저지 등 강경 대응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동규 기자
송정훈 기자 repor@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