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41개 외국은행중 27개 은행이 전산시스템을 해외로 이전했으며 생보사 등 타 금융권에서도 해외이전을 적극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에서는 무엇보다도 고객 정보가 해외에서 관리되면 고객 정보가 유출돼도 당국의 관리감독이 불가능해 보안상 위험이 크다고 지적하고 있다.
대표적인 외국계 은행인 씨티은행과 HSBC은행이 비용 절감과 인력관리의 용이성을 이유로 한국의 인터넷뱅킹 센터를 각각 싱가포르와 홍콩으로 이전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씨티은행은 비용절감을 위해 서울에 있는 인터넷뱅킹 센터를 내년 3월까지 싱가포르로 이전할 계획이다.
다른 외국 금융기관 국내 지점들도 전산시스템을 해외로 이전하고 있어 ‘탈코리아’바람이 불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금융계 관계자는 “외국계 금융기관들은 서울보다 싱가포르와 홍콩이 영어 구사 능력과 생산성 인건비 등에서 우월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이미 도이체방크 소시에떼제너럴 BNP파리바 바클레이즈캐피탈 등 다른 다국적 금융기관들도 홍콩 등지로 전산시스템을 이전했다”고 전했다.
■ 금융정보 유출 우려 지적
내년 3월 이후에는 씨티은행의 인터넷뱅킹을 이용하는 고객 14만7000여명의 금융정보 등 이 싱가포르로 옮겨간다.
이러한 전산센터의 해외이전에 따라 고객정보가 해외에서 관리되는 데 따른 보안상 위험성을 지적하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또 국내 고객의 금융거래정보가 해외에서 유출될 경우 큰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감독당국의 관리감독도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처음으로 씨티은행과 BNP파리바 국내지점의 전산센터가 있는 싱가포르 지점을 점검하려 했으나 무산된바 있다.
아직까지는 외국은행 국내 지점의 해외 전산시설은 금감원 감독권한의 사각지역인 것이다.
또 해외전산시설에 대한 금감원 등의 감독이 이뤄지더라도 어느 정도 실효를 거둘지는 아직 의문이다.
금감원측은 필요한 경우 해외로 이전한 전산시설에 대해 현장점검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시형 기자 zang@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