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는 母회사 동양메이저의 자회사로 이들이 이동한 것은 금융 자회사에 긴급 인력지원을 위해 결정된 것이라고 해석했다.
유前전무의 이동은 시장에 매물로 나왔다는 공통점을 가진 동양증권에서 동양카드로의 이동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끌었다.
동양 관계자는 “그룹의 아픔”이라고 의미를 함축시킬 정도. 동양 다른 관계자는 “동양메이저가 건설경기의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자 잇따라 금융 자회사를 매각하려 했으나 이 또한 뜻대로 되지 않아 이 분야에 전문가인 유前전무를 이동시킨 것”이라고 말했다.
기획팀장의 동양선물로의 이동은 증권-선물사의 동반 발전을 노린 전략적 결정으로 알려지고 있다. 박前팀장은 업계에 알려진 기획통. 동양선물이 수익기반을 한단계 올려놓는 등 성장가능성이 부각되는 시점에 박前팀장이 이동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와 다른 해석이 나오기도. 한 관계자는 “동양증권이 대우채 부실 털기 작업에 나서려고 진행한 인사”라고 추측했다.
홍보팀장은 금융센터점 법인담당으로 전보됐다. 이는 문책성 인사라는 게 주류의 시각. 문제는 동양증권의 홍보팀이 부서장 교체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는데 있다. 매각설, 부실채권 과다 보유설, 적자 누적설 등에 대해 그때그때 홍보팀의 활동이 결정돼야 하지만 대부분 정보를 경영진이 독점하고 있다. 홍보팀의 위기는 회사의 위기라는 설명도 나오는 형편이다.
문병선 기자 bsmoon@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