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10일 한국부동산원이 공개한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서울에서 이뤄진 아파트 매매 거래 6796건 중 30대의 매수 비중은 36.7%에 달한다.
지역별로 보면, 강서구의 30대 매수 비중이 48.0%로 가장 높았고, 관악구(46.3%), 성동구(43.1%), 은평구(41.7%)가 뒤를 이었다. 이들 지역은 직주 접근성이 뛰어나고 상대적으로 중저가 단지가 많아, 생애 최초 구입자와 갭투자 수요가 함께 몰린 곳으로 꼽힌다.
반면 강남구(18.5%)와 서초구(19.7%) 등 고가 아파트 밀집 지역에서는 대출 규제와 높은 진입 장벽으로 인해 30대 매수가 제한적이었다.
부동산업계에서는 이번 ‘10·15 대책’ 시행 이후 이러한 흐름이 단기간 더 강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번 대책은 갭투자와 다주택자 규제를 대폭 강화하는 대신, 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에게는 기존의 정책자금 혜택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동대문구의 한 공인중개사는 “서울 전역이 규제지역으로 묶이면서 실수요 중심의 거래가 강화되는 한편, 대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30대의 상대적 매수 여력이 커졌을 것”이라며 “10·15부동산 대책 규제에 앞서 진행된 만큼, 일시적인 증가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강북구의 한 공인중개소 대표는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임차인이 있는 집을 팔기 어려워졌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이 안정되면 5~6억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30대 매수세가 다시 살아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런 ‘영끌 매수’가 단기적 시장 왜곡을 불러올 수 있다고 경고한다. 갭투자가 어려워지자 전세를 낀 실수요형 거래가 늘고, 대출 가능한 중저가 구간에 매수세가 집중되면서 일부 지역의 가격이 왜곡될 우려가 있다는 의미다.
공인중개소 대표는 “결국 정책의 의도와 달리, 자금 여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30대만 더 서두르게 되는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고, 이는 중저가 아파트 집값을 단기간에 끌어올리는 부작용이 날 수도 있다”며 “대출 한도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쏠리는 구조는 시장의 정상적인 가격 형성이 된다면 추후 문재인 정부 때와 비슷한 부작용이 나타날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10·15 대책은 서울 전역과 경기 일부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 및 규제지역으로 확대 지정하며, 대출과 전매, 보유 요건 등을 대폭 강화했다. 그러나 생애 최초 구입자에 한해서는 정책자금 및 LTV 완화가 유지돼, 젊은 세대의 정책을 활용 매수가 한동안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주현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gun1313@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기술특례상장 1호’ 헬릭스미스, 새주인 만나 ‘명예회복’ 시동 [시총 2위의 추억 ③-끝]](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setimgmake.php?pp=006&w=110&h=79&m=5&simg=2025110223333102639dd55077bc211821821462.jpg&nmt=18)

![‘각계 전문가 포진’ 부광약품, 체질 개선 속도…“제약바이오 전문성 고려” [이사회 톺아보기]](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setimgmake.php?pp=006&w=110&h=79&m=5&simg=2025111011465107420923defd0cc106101134140.jpg&nmt=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