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플러스는 15일 설명문에서 “현 상황에서 인가 전 M&A의 성공만이 홈플러스가 회생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이고 유력한 방안임은 주지의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협상 도중 매각방식이 법원절차에 사전에 예정된 일정에 따라 스토킹호스에 공개입찰로 전환하게 됐다”며 “법원의 결정에 따라 공개입찰로 전환됐지만 잠재적 인수자와 협의는 계속 진행 중”이라고 주장했다.
15개 폐점 예정 점포 조건부 폐점 보류 관련해서는 “9월 19일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TF의원들이 당사를 방문해 회생방안에 대해 협의를 진행하게 됐다”며 “이 자리에서 주요 거래처의 거래조건 강화 및 납품물량 축소로 인한 자금 및 판매물량 부족 등 15개 점포를 폐점할 수 밖에 없는 사유를 설명했다”고 말했다.
이어 “인가 전 M&A를 위해 다수의 잠재적 인수자와 협의를 진행했으나 소비자 구매채널이 온라인으로 전환됨에 따른 대형마트 업종의 불확실성과 홈플러스를 둘러싼 사회적 이슈 등으로 인해 현재 M&A 시장에는 제한적인 수의 잠재적 인수자만 남아있어 매각 협의가 쉽지 않은 상황임을 설명했다”고 부연했다.
홈플러스 측은 “현 상황 설명을 들은 TF 의원들이 현재 매각 협상이 진행 중에 있음에 따라 15개 점포의 폐점을 매각 이후로 연기하는 방안을 제안 줬으나 자금 및 판매물량 부족이 먼저 해소돼야 15개점 폐점을 보류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고 주요 거래처와 협의가 중요한 점을 말했다”고 강조했다.
그 결과 주요 거래처의 거래조건을 회생 전과 같은 수준으로 복구해 자금이슈가 해소되고 납품물량 정상화가 이루어 진다는 것을 전제로 15개 점포의 폐점을 연말까지 보류하고 현재 진행 중에 있는 인가 전 M&A에 집중하기로 했다는 게 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박슬기 한국금융신문 기자 seulg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