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열린 정무위 국감에서는 여야 의원 할 것 없이 모두 김병주 회장을 강하게 질타했다. 올해 초 홈플러스가 갑작스럽게 회생절차에 돌입하면서 약 10만 여 명에 달하는 노동자가 생계에 위협을 받고 있어서다. 여기에 홈플러스가 발행한 전기단기사채(ABSTB)에 투자했다가 상환받지 못한 일반인 피해자들이 많다는 점, MBK가 인수한 기업의 성장보다는 사모펀드 이익을 위해 매각에만 몰두한데 따른 ‘먹튀 사모펀드’라는 점 등에 대해 의원들 질타가 이어졌다.

채권 변제 등과 관련해 김광일 부회장은 “회생절차 이후 소상공인 회생채권은 전액 변제했고 대기업 회생채권 등 이 부분은 회생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해 변제하도록 할 것”이라고 답했다.
김승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MBK파트너스가) 지난달 민주당 원내대표와 만나서 우선협상대상자와 협상 중이라고 밝혔지만 갑작스럽게 공개입찰로 전환한 것에 대해 따져 물었다. 김 의원은 “우선협상대상자가 없었는데 공개모집하다가 인수자 나타나지 않으면 청산절차 밟으려고 한 게 아니냐”며 “만일 인수자가 안 나타나서 청산절차를 밟게 되면 가만 있지 않겠다”라고 경고했다.
김광일 부회장은 “우선협상 대상자가 있다고 말한 적 없다. 일부 제한적인 인수 희망자와 협의한 것”이라고 답했다.
또 김병주 회장에 대해서는 대기업 선납금을 홈플러스 운영자금이 아닌 개인 사재로 해결할 수 있는게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에 김병주 회장은 “제가 관여하는 부분이 아니다”라고 짧게 답변했다.

특히 김병주 회장은 롯데카드 사태에 대해서도 잘 모른다는 답변을 반복했다. 그러자 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졌고 그는 “홈플러스나 롯데카드 의사결정에 참여를 안 하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김병주 회장은 “저는 대기업 총수가 아니다. 로펌들처럼 파트너십으로 운영하고 13명의 파트너들이 자기 분야를 담당하는 거다. 제가 하는 건 펀드레이징으로, 자금을 일으키고, 자금을 받은 투자처들을 관리하는 거다. 다만 사회적 책임을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상황을 지켜보던 윤한홍 정무위원장 역시 “M&A가 안되면 청산으로 가는 분위기다.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유영하 국민의힘 의원은 “MBK는 약탈적 헤지펀드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다”며 “어차피 (김병주, 김광일이) 여기서 사실대로 이야기 하겠나? 수사받고 있어서 말씀 못한다고 하면 끝이다”라며 사모펀드에 대한 규제가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려아연 인수에 대한 질의도 이어졌다.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은 “MBK의 행태를 보면 국가기관 산업에 악역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MBK가 고려아연을 인수하면 인력감축 안하겠다고 약속할 수 있느냐”고 물었다.
이에 김광일 부회장은 “고려아연 인력 감축 안하겠다. 약속 드린다”며 “고려아연은 장기간 투자할 생각이고, 인수가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에 말씀 드릴 수 있는 게 없다”고 말했다.
의원들이 홈플러스 회생에 대한 의지를 묻는 질문이 계속되자 김병주 회장은 "꼭 회생할 것"이라고 답했다. 법원이 청산으로 가겠다고 하면 어떻게 할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서 김광일 부회장은 "가정적인 이야기라 지금 할 수 있는 말은 없다"고 말했다.
김병국 홈플러스 입점주 대표는 “참 답답하다. 일반 국민인 저로서는 비현실적인 자리다. 5000억 원, 7000억 원 등 이야기가 나오는데 우리는 단돈 1200만 원이 없어서 폐점을 못한다”며 “지난 8개월 간 홈플러스가 정상화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하는데 피부에 닿는 노력은 안이뤄졌다”고 호소했다.
그는 이어 “3가지 요청사항이 있다. 첫 번째는 정부회 국회가 적극 개입해 실질적이고 건강한 M&A가 진행되길 바라고, 두 번째는 긴급 경영지원금 지원, 세 번째는 홈플러스 청문회 개최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 역시 홈플러스 사태에 대해 적극 들여다볼 것을 강조했다. 조 위원장은 “MBK가 한국에서 누렸던 수익에 상응하는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 기업이 가져야 할 사회적 책임을 반영해 엄정한 제재를 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박슬기 한국금융신문 기자 seulg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