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생산적 금융을 위한 은행·보험 자본규제 합리화 방안'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보험사가 국민성장펀드 등 정책프로그램을 통해 투자를 진행할 경우, 요구자본 항목인 시장위험액 산정 시, 주식과 펀드 투자 위험계수가 K-ICS 비율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점을 감안하여 합리적으로 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보험업권은 자산-부채 듀레이션 관리를 통해 자본의 금리변동성을 해소하는 ALM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보험사의 장기 운용자산 수요처 마련 등에 대한 정책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이에, 정책프로그램 특성을 고려한 K-ICS 요구자본 개선 , 펀드 투자에 대한 위험 측정 합리화, ALM 측면 투자유인 제고 를 추진하기로 했다.
국민성장펀드 등 정책프로그램 지원 정도에 따라 실질적으로 위험이 경감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요구자본 측정하도록 할 예정이다.
기존에는 신용·주식위험액 측정 시 인프라·SOC 투자에 대해 완화된 위험계수를 적용하나, 적용 범위가 제한적이었다.
보험회사가 정책프로그램을 통해 지분투자 시 주식위험액을 경감하는 방향으로 개선을 추진한다.
현재 보험사는 모든 레버리지 펀드에 대해 높은 위험계수를 적용해 실질 위험이 과도하게 산출되는 경향이 많았다.
약관상 최대레버리지비율이 아닌 실제 레버리지비율이 적용될 수 있도록 위험계수 산출 기준·대상 정교화할 예정이다.
정책 프로그램을 통해 투자한 자산이 보험사 ALM에 유리한 장기자산 투자처로서 국채 외 대안이 될 수 있도록 투자구조를 구체화하고 현금흐름 매칭조정을 지원한다.
인프라 펀드 등 현금흐름이 일정한 부문에 투자 시 매칭 조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검토할 계획이다.
보험사 제도 개선은 10월 중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위한 운용 및 자본 규제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하경 한국금융신문 기자 ceciplus7@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