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3년 7월 국내 최초 발행 이후 3년 연속 발행해
누적 발행 액수 5000억원 돌파...ESG채권 확산 노력할 것
이미지 확대보기현대캐피탈이 총 2000억 원 규모의 ‘지속가능연계채권(Sustainability Linked Bond, SLB)’을 성공적으로 발행했다고 18일 밝혔다./사진 제공 = 현대캐피탈
[한국금융신문 김다민 기자] 현대캐피탈(대표이사 정형진)이 총 2000억 원 규모의 ‘지속가능연계채권(Sustainability Linked Bond, SLB)’을 성공적으로 발행했다고 18일 밝혔다.
지속가능연계채권은 ESG 채권의 한 종류로, 현대캐피탈은 지난 2023년 7월 국내 공모채권 시장에서 최초로 지속가능연계채권을 발행한 후 매년 발행을 이어오고 있다.
이번에 발행한 채권은 3년물 단일 트렌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동대표 주간사는 키움투자증권과 KB증권이 맡았다. 현대캐피탈은 이번 발행 규모를 전년 대비 2배 이상 확대했으며, 3년 누적 발행 액수도 5000억 원을 넘어섰다.
지속가능연계채권은 ESG 경영 목표 달성 여부에 따라 채권 구조가 변화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발행사가 사전에 지속가능성과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투자자에게 일정 수준의 프리미엄을 제공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이 채권은 다른 ESG 채권과 달리 사후 관리를 통해 목표 달성 여부를 검증하고, 이를 통해 그린워싱(Green Washing)을 방지할 수 있어 미국과 유럽 등에서 활발히 발행되고 있다.
현대캐피탈은 이번 지속가능연계채권 발행에서 2027년 말까지 3년간 신차할부와 임대상품의 전체 취급 건 수에서 친환경차의 비중을, 현대자동차그룹의 친환경차 내수판매 비중보다 3.0%p 이상 높은 수준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현대캐피탈은 투자 기간 동안 연 0.02%p(2bp)의 프리미엄을 투자자들에게 추가로 제공할 예정이다.
현대캐피탈은 이번 채권 발행을 통해 현대자동차그룹의 ESG전략에 발 맞추어 친환경차 판매 확대를 지원하고, 그린(Green)금융의 선도자 역할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한편, 현대캐피탈의 이번 지속가능연계채권은 NICE신용평가로부터 ▲핵심성과지표(KPI)의 선정 ▲지속가능성과 목표의 설정 ▲채권의 특성 ▲보고 ▲검증 등 지속가능연계채권의 핵심 구성 요소들이 국제자본시장협회(ICMA)의 지속가능연계채권 원칙(Sustainability-Linked Bond Principles, SLBP)에 부합한다는 인증 결과를 받았다.
이영석 현대캐피탈 재경본부장(CFO)은 “현대캐피탈은 2016년 국내 민간기업 최초로 녹색채권을 발행한 이후, 현재까지 총 7조6000억 원 규모의 ESG 채권을 발행하며 대한민국의 ESG 경영을 선도하는 금융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현대자동차그룹의 ESG 경영 정책에 발맞춰 다양한 ESG 채권 발행과 친환경차 확산에 앞장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