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5.04.18(금)

현대캐피탈, 사외이사 평균 보수 7290만원…대형 캐피탈사 중 ‘으뜸’[사외이사 줌人 (3)]

기사입력 : 2025-04-21 00:00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대형 캐피탈사 10곳 사외이사 평균 보수 5085만원
개인 ‘연봉킹’ 신달수 JB우리캐피탈 의장 8258만원

현대캐피탈, 사외이사 평균 보수 7290만원…대형 캐피탈사 중 ‘으뜸’[사외이사 줌人 (3)]이미지 확대보기
[한국금융신문 김다민 기자] 국내 10개 대형 캐피탈사 사외이사들은 평균 5085만원에 달하는 보수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보수를 받고 있으나 사외이사 실질 평가는 다소 형식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금융신문이 한국금융신문 ‘이사회 인물뱅크’와 사업보고서, ’지배구조 및 보수체계 연차보고서‘를 통해 자산 규모 기준 상위 10개 캐피탈사(현대, 하나, KB, 현대커머셜, 우리금융, 신한, IBK, 산은, JB우리, BNK) 사외이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해당 캐피탈사에 재직중인 사외이사들은 지난해 평균 5086만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총액 평균이 가장 높은 곳은 7290만원을 지급한 현대캐피탈로 확인됐다. 반면, 가장 낮은 캐피탈사는 IBK캐피탈로, 사외이사 1인당 평균 2950만원을 수령했다.

평균보수액 현대캐피탈 가장 높아...IBK캐피탈 꼴찌
지난해 12월 말 재직 중인 사외이사를 기준으로 수령한 보수총액을 분석한 결과, 현대캐피탈과 현대커머셜의 기본금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대캐피탈과 현대커머셜에서 작년 1년간 사외이사로 재직해 수령한 기본금은 월 575만원, 연 6900만원으로 대형 캐피탈 10개사 중 가장 보수 수준이 높았다.

두 회사의 이사회 1회 참가수당은 50만원으로 동일했다. 다만, 지난해 현대캐피탈이 이사회를 현대커머셜보다 1회 많은 8회 개최하며 평균 보수가 근소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캐피탈의 사외이사 개별 보수총액은 모두 7300만원으로 동일했다. 다만, 김기동 사외이사만 이사회에 7회 참석해 7250만원을 기록했다.

현대커머셜도 마찬가지로 개별 보수총액이 모두 7250만원으로 동일했다.

JB우리캐피탈 보수 총액 평균이 7260만원으로 현대캐피탈 다음으로 높았다. JB우리캐피탈은 신달수 사외이사 8258만원, 조강필 사외이사 7700만원, 정재욱 사외이사 5823만원을 지급했다.

JB우리캐피탈은 직무수당과 의장수당, 회의수당을 따로 지급해 이사회 의장과 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신달수 사외이사가 다른 사외이사보다 수당을 더 받았다. 신달수 사외이사는 대형 캐피탈사 10곳의 사외이사 중 가장 많은 연봉을 받은 '연봉킹'이다.

JB우리캐피탈의 사외이사 기본금은 월 400만원, 연 4800만원으로 대형 캐피탈 10개사 중 4번째로 높았다. 신달수 사외이사의 회의수당이 연간 2400만원으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조강필 사외이사는 회의수당으로 연간 2300만원을 받았으며, 정재욱 사외이사는 연간 1700만원을 수령했다.

이 외에도 직무수당과 의장수당 각 월50만원을 추가로 지급해 높은 수준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KB캐피탈은 4725만원으로 현대커머셜에 이어 4위를 달성했다. KB캐피탈 기본금은 4200만원으로 6번째로 높았으나, 회의수당이 540만원으로 설영오 사외이사와 최규연 사외이사가 4740만원을 지난해 수령했다.

이어 사외이사 평균 보수는 우리금융캐피탈(4680만원), 산은캐피탈(4625만원), 신한캐피탈(4530만원), BNK캐피탈(4250만원), 하나캐피탈(3547만원), IBK캐피탈(2950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평균보수가 가장 낮은 곳은 IBK캐피탈로, 기본금도 3000만원으로 10곳 중 가장 낮은 기본금을 제공했다. IBK캐피탈은 별도 회의수당이나 의장수당 등을 지급하지 않아 대형 캐피탈사 평균보다 42%가량 낮은 수준의 보수를 지급했다.

지난해 IBK캐피탈에서 보수를 받은 사외이사는 정성태 사외이사, 권오훈 사외이사, 임정환 사외이사, 조재목 사외이사, 김만기 사외이사로 총 5명이다. 그중 김만기 사외이사는 지난해 3월 퇴임해 300만원의 보수만 받았다. 지난해 말 기준 재직 중인 사외이사 정성태 사외이사, 권오훈 사외이사, 임정환 사외이사는 모두 3000만원을 수령했다. 조재목 사외이사는 지난해 1월 25일에 선임돼 11개월 치 기본금을 받아 2800만원을 받았다.

한편, 사외이사 기본급이 가장 높은 회사는 현대캐피탈과 현대커머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산은캐피탈이 5290만원의 기본급을 제공해 뒤를 이었다. 평균보수 순위가 6위인데 비해 높은 기본급이다. 실제로 산은캐피탈의 사외이사 중 지난해 10월부터 근무한 서승우 사외이사의 보수를 제외하면 평균 보수가 5680만원으로, 평균 보수 4위로 등극하게 된다.

기본금은 산은캐피탈에 이어 ▲JB우리캐피탈(4800만원) ▲BNK캐피탈(4480만원) ▲KB캐피탈·우리금융캐피탈(4200만원) ▲신한캐피탈(3600만원) ▲하나캐피탈(3500만원) ▲IBK캐피탈(3000만원) 순으로 높았다.

출석률 100% 다수...대부분 평가 만점으로 변별력 없어
캐피탈사들은 매년 사외이사 활동을 평가하고 이사회 회의 출석률을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평가결과가 보수에 적용되지는 않으며 대부분 만점에 가까운 점수를 받아 평가가 무의미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다수의 캐피탈사는 사외이사별로 전문성, 직무공정성, 윤리책임성, 충실성, 이사회 출석률 항목으로 평가하고 있다. 또한, 직원평가, 이사회평가, 자기 평가로 구성해 평가를 진행하며, 평가의 객관성 제고를 위해 전 과정을 외부업체에 위탁해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외이사가 만점에 가까운 평가를 받으며 실질적인 평가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실제로 대형 캐피탈 10개사 중 사외이사가 모두 만점을 받은 캐피탈사는 6곳으로, 나머지 4곳도 대부분 한 단계 차이로 만점에 가까운 평가를 받았다.

사외이사별 평가에서 차이를 보인 곳은 현대커머셜이다.

현대커머셜은 전문성, 공정성, 윤리성·책임성, 충실성 관련 설문을 통해 각 사외이사 별 종합등급을 산출한다. 이후 각 사외이사의 종합등급 평균 및 이사회 담당 임원의 종합등급을 4:1로 적용해 최종 등급을 산출한다.

현대커머셜의 5명의 사외이사 중 강평경 사외이사는 유일하게 종합평가 결과 S등급을 받았다.

현대커머셜은 "강평경 사외이사는 회계분야 전문성을 토대로 회사가 개선해야 할 사항, 규제에 대응해야 할 사항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회사 운영안을 도출하도록 기여했다"며 "또한 이사회에 관련 자료를 적극적으로 요청해 충실하게 분석하고 적절한 의견을 개진하는 등 능동적인 이사회 운영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김다민 한국금융신문 기자 dmkim@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issue

김다민 기자기사 더보기

2금융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