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시공능력평가 100위권 내 건설사들을 포함한 중견 건설사 11곳이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1월 신동아건설(58위)을 시작으로 삼부토건(71위), 대우조선해양건설(83위), 대저건설(103위), 삼정기업(114위), 안강건설(138위), 대흥건설(96위), 영무토건(111위) 등이다. .
모두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 등 복합 요인으로 유동성 위기에 봉착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악성 미분양이 증가하면서, 건설업계가 더욱 힘들어진 모양새다.
2025년 4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7793가구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준공 후에도 팔리지 않은 ‘악성 미분양’ 물량은 2만6422가구로, 이는 2013년 8월 이후 11년 8개월 만의 최대치다.
이는 전월 대비 5.2% 증가한 수치다. 특히 전북(41.7%), 경북(21.8%), 대구(16.1%) 등 지방에서 두 자릿수 이상 급증세를 보였다. 악성 미분양은 건설사의 유동성 위기를 초래하는 핵심 요인이다. 경기 부진과 고금리 기조 속에 주택 수요가 위축되면서 건설사들이 완공한 주택을 팔지 못해 자금난에 빠지고 있다.
앞서 정부는 지난 2월 ‘지역 건설경기 보완방안’을 통해 LH의 미분양 주택 매입(3000가구), 기업구조조정 리츠(CR 리츠) 지원 등을 내놓았으나, 업계에선 실효성이 낮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매입 물량 자체가 부족하고, 매입가 상한 규정으로 인해 누적된 미분양 물량을 해소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건설공사계약액도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경우 더욱 힘든 상황이다. 지난해 수도권 계약액은 125조원으로 전년 대비 10.7% 증가했지만, 지방은 오히려 0.1% 감소했다.
일각에선 이같은 현상은 사회적으로 감수해야하는 부분이라는 목소리도 있다.
이은형닫기

주현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gun1313@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