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력 설계사들의 13차월 정착율이 61.8%로, 경력자가 대부분인 500인 이상 GA 평균 설계사 정착율 60.2%를 웃돌았다. 이는 무경력 설계사들의 안정적인 소득 창출에 주력을 했기 때문이다.
교육 후에는 각 설계사가 지점에 배속되어 실질적인 영업활동을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지점마다 EM(Education Manager)이 상주하여 밀착 지원한다. EM은 1년간 설계사의 영업활동에 동행하며 고객 상담, 영업 전략 수립, 문제 해결 등 다양한 부분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1:1 멘토링을 통해 설계사들의 정착률을 높이고 안정적인 성장을 도모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첨단 IT 기반의 영업지원 도구인 ‘간편추천플러스’와 ‘한장보험비교’를 통해 설계사들이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 점도 주효했다. 이 같은 디지털 환경은 보험 영업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신속한 적응을 가능하게 해 설계사들이 보다 빠르게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IFRS17 시행 2년차인 2024년에 보험사의 판매경쟁 심화로 보험사들이 계약 마진(CSM) 확보를 위해 무·저해지 등 경쟁력 높은 보장성 상품이 시장을 주도하며, 판매사에 유리한 영업환경이 조성된 영향도 있으나 신입 설계사 양성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생명보험 부문에서는 환급률이 높은 단기납 저해지 종신보험과 법인 절세 및 경영인 퇴직자금 마련에 효과적인 경영인 정기보험이, 손해보험 부문에서는 3대 질병(암·뇌혈관·심혈관) 치료비 및 수술비 보장을 강화한 무해지 건강보험이 성장세를 보였다.
창립 초기부터 무경력 설계사 육성을 핵심역량으로 설정하고 꾸준히 투자해왔으며 2024년에는 작년 신규 등록한 설계사 수는 전년대비 약 700명이 순증한 2200명 중 41%인 885명이 무경력 설계사다.
내부통제에도 힘쓰고 있다. 에이플러스에셋은 RM파트를 신설하고, 신계약에 대한 전산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준법감시 전산시스템'을 개선했다. 지속적인 현장점검과 규정을 어긴 설계사 제재 체계를 구축하여 불건전판매 차단에 역점을 뒀다. 매월 세번째 주 수요일을 "완전판매 교육의 날"로 지정하고 완전판매 및 준법 교육 실시하고 불법적인 광고행위로 소비자에게 잘못된 정보가 전달되지 않도록 광고 심의 및 모니터링을 강화했다.
전하경 한국금융신문 기자 ceciplus7@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