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5.04.04(금)

[DCM] 트럼프 관세 우려...’눈치게임’ 채권시장

기사입력 : 2025-04-01 20:29

(최종수정 2025-04-01 20:38)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자본확충 이슈, 금융채 발행 유인 적어…회사채, 투자 대비 발행 수요 증가

미국 장단기 금리스프레드./출처=Fred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장단기 금리스프레드./출처=Fred
[한국금융신문 이성규 기자] 트럼프닫기트럼프기사 모아보기 관세가 글로벌 경제 최대 이슈로 떠올랐다. 글로벌 자본시장 역시 불안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원화는 위험자산에 속하는 만큼 국내 시장 변동성은 더 확대되는 모습이다. 채권 시장은 환율보다 경제성장률에 민감하고 수급측면에서도 부정적 평가는 많지 않다. 다만 관세는 중대 사안인 만큼 발행사들은 시장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각국에 상호관세 관련 구체적 내용을 발표할 계획이다. 핵심은 적용 대상 국가로 광범위한 파장이 예상돼 촉각을 기울일 수밖에 없는 사안이다.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지난 1월 4.8% 수준에서 최근에는 4.1%대까지 내려왔다. 관세 여파로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인플레이션 발생)우려가 확대되면서 장기물 금리를 끌어내렸다.

이 기간 동안 미국채 장단기 금리스프레드(10년물-2년물 금리)는 추가 확대가 제한된 모습이다. 통상 단기물 금리는 기준금리에, 장기물 금리는 경제 전망에 민감하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 속도가 예상보다 더딜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경기침체 우려로 장기물 금리가 더 빠르게 하락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일본중앙은행(BOJ)은 기준금리 인상 기조로 다시 돌아섰다. 미국과 일본의 금리스프레드가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엔캐리트레이드 청산 가능성도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엔캐리트레이드는 금리가 낮은 엔화를 빌려 달러 등으로 통화를 환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는 상품 등에 투자하는 것을 뜻한다.

엔화 조달비용이 높아지고 여타 통화 기반 상품수익률이 낮아지면 본국으로 회귀하는 엔화가 증가한다. 지난해 7월 BOJ가 17년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하자 글로벌 시장이 요동을 친 것도 엔캐리 청산 우려 탓이었다.

최근 시장을 둘러싼 불확실성에 글로벌 주식시장은 즉각적으로 반응했다. 그간 승승장구하던 미국 시장이 대표적이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만 포인트 수준에서 급락해 최근에는 1만7000포인트를 하회하기도 했다.

관세 여파는 아직 현실화되지 않았다. 트럼프 당선 이후 ‘관세 공포’가 시장을 움직였다면 선반영됐을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엔·유로 강세와 달러 약세…국내 채권 시장은 ‘눈치게임’
달러 인덱스 추이./출처=Fred이미지 확대보기
달러 인덱스 추이./출처=Fred
원달러 환율은 올해 초 1420원대에서 거래되기도 했으나 최근에는 1470원 선에서 횡보중이다. 이 기간 동안 달러인덱스는 하락했다. 달러가 약세를 보였지만 원화는 더 큰 폭으로 절하된 것이다.

달러인덱스 하락에 영향을 미친 통화는 엔과 유로다. 엔화는 일본의 양호한 경제성장, 유로화는 지정학적 리스크 해소 등이 각각 가치를 끌어올리는데 일조했다. 이뿐만 아니라 미국 경기 둔화 우려는 글로벌 자금이 달러에서 여타국 통화로 이동을 부추겼다.

근본적으로는 미국의 재정적자 문제를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미국 의회예산처(CBO)는 오는 2029년 미국 공공부채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107%에 도달해 지난 1946년 최고수준(106%)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트럼프 관세 정책이 미국 재정건전성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럼에도 달러 대비 원화 약세는 원화가 안전자산이 아니라는 점을 방증한다. 원화 약세는 국내 자본시장 메리트를 낮추는 요인이다. 다만 주식시장은 환율과 상관관계가 높은 반면, 채권시장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엔캐리 청산 등이 발생할 경우 국내 채권시장도 금리가 급등할 수 있다. 그러나 금리는 경제성장과 물가의 함수다.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발발 당시에도 국내 채권 금리가 급등했지만 이후 금리는 다시 폭락했다.

투자은행(IB) 관계자는 “트럼프 관세 여파로 채권 발행을 연기하는 곳은 없다”면서도 “시장 상황과 반응이 중요하기 때문에 발행사들이 신경을 더 많이 쓰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말 그대로 투자자 ‘눈치’를 살피는 정도”라고 덧붙였다.

금융채 발행 유인 적어…회사채 수급 양호 전망
현재 국내 금융사들의 최대 이슈는 자본적정성이다. 후순위채, 신종자본증권 등 자본성증권 발행이 줄을 잇는 이유다. 금융사들은 리스크 관리와 동시에 밸류업을 위한 주주환원 등을 고민하고 있다. 업계는 위험가중자산(RWA) 관리 측면에서 볼 때, 금융채 발행 유인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회사채는 상대적으로 발행 수요가 높을 전망이다. 경제 불확실성 탓에 자본형태 자금 조달이 제한돼 선택지가 좁혀지는 탓이다.

한 자산운용사 채권운용역은 “인플레이션과 각국 정책 여파로 금리가 다시 올라갈 가능성도 있지만 소비여력이 따라주지 않으면 금리는 하락한다”며 “소비는 경제성장률과 궤를 같이하는 만큼 단순 외부충격으로 급등한 금리는 결국 제자리로 돌아온다”고 말했다. 그는 “국내 회사채 시장은 순상환 기조가 이어지고 있어 수급적으로 양호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성규 한국금융신문 기자 lsk0603@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issue

이성규 기자기사 더보기

증권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