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이 국토교통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정부 시평 상위 20위 건설사들의 건설 현장 사고로 인한 사상자는 1868명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사상자 전체 인원은 2023년(2259명)보다는 17.3%가량 줄었다. 다만, 사망자는 35명으로 전년(25명)보다 25.0% 늘었다. 부상자의 경우 전년(2231명)보다 17.8% 감소한 1833명이었다.
박용갑 의원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건설 현장 사상자 수는 전혀 줄고 있지 않다”면서 “시행 3년이 지난 지금 처벌이 아닌 예방 위주로의 법 개정 논의와 정부의 철저한 관리 감독 및 점검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선 경영책임자에 대한 처벌 중심인 만큼 현장 근로자에서는 여전히 안전에 대해서 크게 신경쓰지 않는 상황도 펼쳐지고 있다는 평가도 있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중대재해법은 처벌 중심의 법안이기 때문에 건설사들은 벌을 피하고자 안전에 크게 집중 중”이라며 “다만 공사현장에서 근로자들의 안전 불감증 개선시키기에는 부족한 법으로, 사실상 현장근로자들 입장에선 크게 달라진 점이 없다”고 귀띔했다.
그는 이어 “처벌만을 강조한 대책이 아닌 근본적인 공사현장 분위기를 바꿔야 한다”이라며 “새로운 시도가 없다면 새로운 안전 확보도 없고, 사망사고도 이어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현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gun1313@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