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 충격, 미국 연준(Fed)의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기준금리 동결 등 악재성 재료를 한 번에 반영한 여파로 풀이된다.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9.43포인트(-0.77%) 하락한 2517.37에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약보합으로 개장해서 이후 낙폭을 확대해 장중 2500선을 이탈하기도 했다가 2510선에서 마무리됐다.
프로그램 매매는 차익 순매수, 비차익 순매수, 전체 1120억원 매수 우위를 기록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45포인트(-0.06%) 내린 728.29에 마감했다. 코스닥 수급을 보면, 개인이 290억원 순매도했다. 반면 외국인 290억원, 기관 40억원 각각 순매수했다.
증시 거래대금은 코스피 13조2550억원, 코스닥 6조4340억원으로 집계됐다.
설 연휴 기간 동안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 발표에 미국 주요 빅테크 기업 주가가 크게 타격을 받았다. 이후 우호적 실적 전망으로 다소 회복됐다.
긴 연휴를 마친 국내 증시에서는 충격 요인이 일시 반영되면서, 31일 반도체주 SK하이닉스가 전 거래일 대비 9.86% 급락하며 19만9200원에 마감했다.
반면, 소프트웨어 종목으로 묶인 NAVER는 6.13% 상승한 21만6500원에 마감했다.
연휴 이후 원/달러 환율은 급등했다. 31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주간 거래 종가 기준 전 거래일 대비 21.4원 급등한 1452.7원으로 집계됐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14.7원 급등한 1446.0원에 개장했고 상승폭을 키워 1450원 중반까지 올랐다.
중국 발(發) 딥시크 쇼크에 따른 외국인 증시 이탈,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멕시코 및 캐나다 관세 예고 등이 달러 강세 요인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정선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 딥시크 돌풍, 글로벌 AI 주도권 전쟁…에너지 섹터에 쏠리는 눈
- 기관 '두산에너빌리티'·외인 'SK하이닉스'·개인 '삼성전자' 1위 [주간 코스피 순매수- 2025년 1월20일~1월24일]
- ‘역대급 실적’ SK하이닉스 “내년 HBM 공급 물량, 올해 상반기 완판 전망”
- 기관 '두산에너빌리티'·외인 'SK하이닉스'·개인 '삼성전자' 1위 [주간 코스피 순매수- 2025년 1월13일~1월17일]
- SK하이닉스, 설 맞아 협력사 거래대금 1330억원 조기 지급
- 기관 'SK이노베이션'·외인 'SK하이닉스'·개인 '삼성SDI' 1위 [주간 코스피 순매수- 2025년 1월6일~2025년 1월10일]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