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실이 지난 6일 금융감독원, 저축은행중앙회, 여신금융협회가 제출한 ‘부실PF NPL펀드 매각 현황’에 따르면, 축은행은 공동 조성한 NPL 펀드에 평균 73%, 캐피탈은 평균 88% 수준으로 투자한 만큼 부실PF 대출채권을 되판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월 조성된 2차 펀드에는 7개 사(▲롯데카드 ▲신한 ▲메리츠 ▲KB ▲KDB ▲iM ▲키움)가 2510억원을 출자하고 2231억원을 매각했다. 1차 펀드 대비 2차 펀드 참여사가 9개에서 7개로 줄었지만, 그에 반해 투자액은 167%가량 증가한 것이다. 출자액⋅매각액 일치율도 1차 펀드보다 1.8%p 늘어난 88.9%로 집계됐다.
저축은행의 경우 작년 9월 저축은행중앙회와 10개 저축은행(▲BNK ▲IBK ▲KB ▲NH ▲OK ▲신한 ▲우리금융 ▲웰컴 ▲하나 ▲한국투자)이 조성한 1차 펀드에서 출자액과 매각액 일치율이 71.5%로 나타났다. 해당 펀드는 330억원 규모로 조성돼 236억원을 매각했다. 일치율이 80%이상인 곳은 6곳이었으며, 그중 100%가 넘는 저축은행은 3곳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2차 NPL펀드 규모가 크게 늘어난 배경에는 파킹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점과, ▲헐값 매각(경⋅공매) 손실 최소화 ▲연체율 및 충당금 부담 완화 ▲금융당국의 부실사업장 정리 압박 면피 ▲부동산시장 회복 후 재매입해 수익 기대를 비롯한 유인이 작용했을 것으로 분석했다.
각 업계는 3차 공동펀드를 조성할 계획이었으나, 금융감독원의 제동으로 공동펀드 추가 조성은 중단한 상태다.

지난달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정무위 국감에서 여신금융업권의 연체율 증가율을 지적한 바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0년 말 대비 2024년 상반기 중소형 캐피탈사 등 여신금융업권의 부동산PF 대출 잔액은 73%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연체율은 1461% 폭등하며, 타 업권 대비 압도적인 수준의 증가율을 보였다. 증가폭의 경우 4.09%p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일부 캐피탈사들이 본업인 리스, 할부금융 대신 고수익을 좇아 부동산 금융에 집중한 것이 부실 위험을 키운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저축은행의 경우 같은 기간 대출 잔액은 13% 증가했으며, 연체율은 435%가량 상승했다. 증가폭은 10.18%p로 드러났다.
민 의원은 “여전업권의 카드사의 규제 개선에 비해 캐피탈사의 부실 대응에 미온적인 금융당국이 위험 기반 레버리지 비율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캐피탈사와 저축은행 모두 지난해 말 대비 잔액이 감소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캐피탈사의 경우 연체율도 개선됐다.
캐피탈사의 올 상반기 말 PF 대출잔액을 지난해 말과 비교하면 25조8000억원에서 23조9000억원으로 7.36% 줄었으며, 연체율은 4.65%에서 4.37%로 0.28%p 하락했다.
저축은행은 같은 기간 9조6000억원에서 7조8000억원으로 18.75% 감소했다. 그러나 올 상반기 말 기준 연체율은 지난해 말 6.96%에서 5.56%p 상승한 12.52%로 드러났다.

김다민 한국금융신문 기자 dmkim@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