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지난 50년간 미국이 절대반지의 권능을 남발했다는 점이다. 찍어낸 국채가 33조 달러에 달하면서 달러도 많이 찍으면 인플레이션이란 암에 걸릴 수 있다는 사실을 세상이 알게 됐다. 50살이 넘어 노화가 진행되는 달러 패권의 자리를 중국 위안화가 위협하고 나서면서 독수리와 팬더의 쟁탈전이 벌어지고 있다.
또 다른 전장에선 일런 머스크 테슬라 CEO가 기존과는 전혀 다른 형태의 화폐전쟁을 벌이고 있다. 이 같은 전쟁은 역사상 전례 없던 일이다.
인도, 달러 결제망에 반기?
인도가 세계 3위 석유 수입국이란 점도 화폐 전쟁에서 고려해야할 중요한 요소다. 인도가 아라비아해에서 석유를 수입하기 위해 막대한 달러를 필요로 한다는 얘기다. 인도는 브릭스(BRICS) 경제동맹의 한 축으로 반(反)달러 결제망(SWIFT)에도 참여하고 있다. 스위프트의 반대 진영에 선다는 것은 페트로달러 시스템에 대한 정면 도전인데, 인도는 비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는 있지만 일단 중국과 러시아가 주도하는 브릭스 중심의 새로운 결제망 구축에 발을 담그고 있다.
2023년 인도는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 인구 대국으로 올라섰다. 지는 10년간 인도의 GDP(국내총생산) 성장률도 3~8%대로 중국을 웃돌고 있다. 가정과 산업에서 석유 소비가 급증할 것이라는 의미다.
실제 인도의 원유수입은 급증 추세다. 2022년 기준 전년보다 수입량이 11% 이상 늘었다. 미국의 보호무역주의로 타격을 입은 중국이 2.3% 수입량이 줄어든 것과 대조적이다.
인도의 원유 수입은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중동에 절반 이상(59%)을 의존하고 있다. 이라크로부터 23%를 수입하고 있으며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18%를 사온다.
호르무즈 해협에서 항행의 자유를 보장하는 미국과 사우디의 이해관계에 따라 유가는 급등락할 수 있고 인도 경제는 이에 막대한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인도가 미국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는 대목이다.
모디 총리는 인도의 지정학적 요충지로서의 지위를 십분 활용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달러 결제망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는 반 스위프트 동맹에도 가담함으로써 미국을 긴장시키고 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서방의 경제 제재를 받는 틈을 타고 모디 총리는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늘리고 있다. 러시아가 경제 제재를 극복하기 위해 자국 원유를 브렌트유 보다 배럴당 10달러 이상 할인된 가격에 팔고 있기 때문이다. 서방의 눈총 같은 건 자국의 이익을 위해서 라면 감수하겠다는 메시지다.
실제 인도가 2022년 러시아로부터 수입한 원유량은 전년보다 10배 이상 증가했다.
영국 BBC는 인도 국영 대출 기관인 바로다 은행의 보고서를 인용, 인도가 2022년 러시아로부터 원유 수입량을 대폭 늘렸으며, 이를 통해 50억 달러(한화 6조 6140억원)를 절약했다고 전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전쟁을 일으킨 뒤 서방 국가의 대러 제재가 시작되자, 원유 수입량이 많은 중국과 인도 등의 국가에 할인된 가격으로 자원을 판매해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러시아 석유는 인도의 연간 원유 수입량의 2%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이 수치는 약 20%까지 치솟았다.
인도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해 왔다. 대러 제재에 동참하라는 서방의 압력에는 실리주의란 명분으로 맞서고 있다.
실제로 수브라마냠 자이샨카르 인도 외교부장관은 2022년 11월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회담을 가진 뒤 공동 기자회견에서 “인도는 세계 3위의 석유·가스 소비국으로서 자국의 이익을 챙겨야 한다. (러시아산 석유 구매가) 우리에게 유리하다면 우리는 그것을 계속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인도가 러시아산 석유의 중개 무역으로 막대한 이익을 챙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산 원유 수입국인 EU와 미국으로 원유 가공상품을 되팔아 차익을 남긴다는 것이다.
김창익 칼럼니스트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