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KT&G는 지난달 말 차기 사장 선임을 위한 본격적인 절차에 착수했다. KT&G는 이사회 및 이사회 내 위원회인 지배구조위원회를 열고 신임 사장 후보의 심사기준 등을 의결했다. 앞서 지배구조위원회는 독립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했다. 약 3개월 동안 ‘지배구조위원회-사장후보추천위원회-이사회 보고 및 주총 승인’의 과정을 거친다. 공정한 심사를 위해 ‘현직 사장 우선 심사제’ 등도 제거했다.
그가 사장직에 오르면서 KT&G는 변곡점을 맞았다. 국내 궐련 시장이 정체기로 접어들면서 글로벌 진출을 확대해야 했기 때문이다. 백 사장은 궐련형 전자담배로 발빠르게 전환했고, 글로벌 담배기업인 필립모리스 인터내셔널(PMI)와 파트너십을 강화했다. 이에 KT&G는 창사 이래 매출 5조 시대를 열었다. 그러나 행동주의 펀드인 플래쉬라이트캐피탈파트너스(FCP)가 이번 KT&G 사장 선임 절차에 제동을 걸었다. 이들은 KT&G 매출과 무관하게 최근 들어 실적이 악화한 점과 주가가 하락한 점 등을 파고들었다.
KT&G 영업이익을 보면 백 사장이 처음 CEO에 올랐던 2016년 1조4688억원에서 2022년 1조2676억원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3분기까지 누적 영업이익도 9694억원으로, 전년(1조662억원)보다 9.1% 줄었다. 동 기간 누적 매출액도 4조4212억원으로, 전년(4조4447억원) 대비 소폭 떨어졌다. 국내 궐련 시장이 정체되면서 실적에도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2022년 3분기 국내 궐련 총수요는 169억6000만개로 집계됐으나, 지난해 3분기 162억2000만개로 감소했다. 이에 KT&G의 국내 궐련 판매량도 2022년 110억5000만개에서 지난해 3분기 108억2000만개로 소폭 줄었다.
여기에 KT&G의 정체된 주가도 개인주주들의 원성을 자아냈다. 백 사장이 취임하던 2015년 10만원 후반대였던 주가는 현재 9만원대 안팎에 머물러 있다. 20% 가까이 떨어졌다. 이에 작년에는 행동주의 펀드를 중심으로 KT&G와 자회사인 KGC인삼공사의 인적 분할을 추진하는 요구도 빗발쳤다. 백 사장은 국내 궐련 시장이 부진하면서 타개책으로 해외 시장을 겨누었다. 인도네시아에 현지 공장을 증설해 유라시아 대륙으로 사업 보폭을 넓히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KT&G 3대 주주(지분율 6.31%)인 국민연금공단의 거취도 눈여겨볼 만하다. 국민연금은 앞서 지난해 KT&G와 같이 최대주주로 있지만, 오너가 없는 ‘소유 분산 기업’인 KT 구현모닫기


KT&G는 백복인 사장의 4연임을 놓고 우려가 제기되는 것에 대해 “더욱 공정한 자격 심사를 위해 인선 자문단의 의견을 반영할 것”이라며 “일련의 과정을 주주들과 투명하게 소통해 진행하겠다”라고 했다. 이어 “주주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도 사장 후보에 도전할 수 있도록 완전 개방형 공모제를 도입했으며, 공정한 자격 심사를 위해 인선 자문단의 객관적인 의견을 반영한 선정 절차를 진행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손원태 기자 tellme@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