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은 금통위는 24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하지만 지난 2월 동결로 금리 인상 기조가 깨졌고 이후 4월, 5월, 7월에 이어 이달까지 다섯 차례 연속 유지했다.
금통위가 다시 금리를 동결한 주요 배경으로는 물가 상승 둔화와 불안한 경기 상황 등이 꼽힌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3%로 2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6%로 1분기(0.3%)보다 높아졌으나 민간·정부 소비와 투자가 모두 줄었다. 그나마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크게 감소해 순수출이 늘면서 역성장을 피했다.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낮추기에는 사상 최대로 불어난 가계부채가 문제다.
한국은행의 '2023년 2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올 2분기 가계대출 잔액은 1748조9000억원으로 1분기보다 10조1000억원 늘어 2021년 4분기(12조1000억원) 이후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지난달 26일(현지시간) 미국 연준의 베이비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5.25~5.50%)으로 한·미 금리차가 역대 최대인 2.00%포인트까지 벌어진 가운데 최근 환율도 9개월 만에 1340원대에 올라섰다.
금통위가 이날 기준금리를 다시 동결하면서 미국과 금리 격차는 2.00%포인트로 유지됐으나 연준이 추가 인상에 나설 경우 차이가 더 확대될 수 있다.
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을 결정하면서 “물가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8월 이후 다시 3% 내외로 높아지는 등 상당기간 목표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주요국의 통화정책 및 경기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아진 데다 가계부채 흐름도 유의해서 지켜볼 필요가 있는 만큼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봤다”고 밝혔다.
이어 “추가 인상 필요성은 대내외 정책 여건의 변화를 점검하면서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