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업계에 따르면, 한일시멘트와 계열사인 한일현대시멘트도 오는 9월1일부터 시멘트 가격을 11만84000원으로 약 13% 올리기로 결정했다.
아세아·한라·삼표시멘트는 아직 가격 인상 계획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이미 가격 인상을 결정한 4개사가 국내 시멘트 시장의 3분의 2가량을 차지하는 만큼 이들 업체의 가격 인상도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된다.
시멘트업계 가격 인상에는 시멘트 사업의 수익 악화가 있다. 지난해 유연탄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했지만 원가 부담을 상쇄하지 못했고, 시멘트 제조 원가의 20%가량 차지하는 전기료도 큰 폭으로 상승했기 때문이다.
쌍용C&E 관계자는 “성수기 내수 시멘트 판매량 증가와 가동률 상승으로 매출액이 증가했다”며 “전기요금 인상과 순환자원 처리수수료 감소 등 원가부담 증가로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소폭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시멘트업계는 오는 2027년까지 환경부 기준에 따라 선택적 촉매환원설비(SCR)를 설치해야 한다. SCR은 1기 설치에 200억~300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자재비 인상은 대형사보다도 중소건설사가 더 큰 타격을 받는다”며 “시멘트값 인상이 공사비 급등으로 이어져 마진은 줄고, 공사를 진행하기조차 버겁다. 이 피해는 국민들이 떠안게 될 것”이라고 토로했다.
건설업계는 시멘트 가격 인상이 공사비 인상, 분양비로 파생돼, 고스란히 국민들에게도 피해가 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시멘트 가격 불안정이 공사 재료비에 미치는 파급효과’ 보고서에는 시멘트 가격이 현재보다 7∼10% 오르면 100억원 규모 공사 기준으로 최고 1억1400만원의 재료비가 추가된다고 분석했다.
안형준 건국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시멘트값 인상은 대·소형 건설사할 것 없이 힘든 환경이 됐다. 대형사도 힘든 환경에서 중·소기업 경영은 더욱더 힘들어진 상황”이라며 “정부는 단순히 시멘트 인상을 자제하라고 강조하기보다는 건설사·시멘트사가 헤매고 있는 정책을 살피고 규제를 풀어주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현태 기자 gun1313@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