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업이익률은 12.1%다. 과거 기아는 주로 저가 차량을 판매한 탓에 4~6%대 낮은 영업이익률을 남겼다. 이번에는 글로벌 완성차 기업 가운데서도 최고 수준의 수익성을 기록한 것이다.
실제 기아 글로벌(중국 제외) 차급별 판매 비중을 보면, RV 비중이 작년 1분기 61.3%에서 올해 1분기 66.1%로 4.8%p 증가했다. 반면 A·B·C세그먼트(소형~준중형) 세단의 경우 27.6%에서 23.2%로 3.4%p 줄었다.

기아는 자동차 성수기에 해당하는 2분기 더욱 높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시장 가운데 유일하게 판매가 감소한 중국은 '아픈 손가락'이다. 기아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대형 딜러 투자자를 영입해 판매 채널을 재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브랜드 개편 작업 중신엔 전기차가 있다. 기아는 올해 EV5·EV6 등 전용전기차를 중국에 투입하는 등 2030년까지 중국 연간 판매 45만대(전기차 비중 40%)를 회복한다는 목표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