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한국투자공사(KIC·사장 진승호)가 뉴욕지사 주관으로 제53차 뉴욕 국제 금융협의체(New York International Financial Cooperation Council)를 현지 시각 17일 오전 뉴욕 총영사관 회의실에서 개최했다./사진=KIC
[한국금융신문 임지윤 기자]
한국투자공사(KIC·사장 진승호닫기진승호기사 모아보기)가 미국 뉴욕 주재 한국 정부, 공공 투자 기관, 민간 금융기관 및 자산운용사 ‘HPS 인베스트먼트 파트너스’(HPS Investment Partners, LLC·대표 페인 D. 브라운)와 함께 사모채권 시장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투자 전망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KIC는 뉴욕지사 주관으로 제53차 뉴욕 국제 금융협의체(New York International Financial Cooperation Council)를 현지 시각 17일 오전 뉴욕 총영사관 회의실에서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회의엔 뉴욕 주재 재경관을 비롯해 정부 관계자와 공공 투자 기관, 증권사, 은행 등 국내 금융기관 투자담당자 20여 명이 참석했다.
미국 최대 규모 사모채권 운용사 HPS의 스콧 프렌치(Scot French) 파트너 및 전략적 투자 파트너 펀드 부문 대표는 이날 발표에서 “사모채권의 빠른 자금조달 속도, 유연한 대출 구조 및 조건 등의 특징 때문에 기존의 자금조달 시장 대안으로 사모채권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금융기관 기업 대출 감소, 하이일드(High Yield·고수익) 채권 발행, 레버리지 론(Leveraged Loan·선 순위 담보대출) 시장 등의 축소에 따라 최근 사모채권이 주목받고 있다”며 “전통적인 시장에서의 자금조달이 어려운 상황에 사모채권 투자가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것”이라 전망했다.
최근 사모채권 운용사들의 자금 모집이 둔화하고 신규 약정 규모가 감소하는 추세에 관해선 “가격 책정 및 법적 요건 등 주요 자금조달 조건 결정에 있어 대형 운용사의 높은 협상력이 사모채권 투자의 핵심 경쟁력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현재 KIC는 뉴욕·런던·싱가포르·샌프란시스코 등 전 세계 금융 중심지에 있는 해외 지사를 통해 현지에 진출한 국내 공공·민간 금융기관과 우수한 해외 투자 정보를 공유하고,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해외 지사 국제금융협의체를 운영하고 있다. 최근엔 국제금융 아카데미 강좌 수와 교육 대상 기관을 늘리는 등 교육과정 강화와 해외투자 전문 인력 양성에도 힘쓰는 중이다.
이날 뉴욕 국제금융협의체 회의를 주관한 신용선 KIC 지사장은 “전통 자금조달 시장의 기업 대출이 어려워지는 이자 상승 국면에서 사모채권 투자 기회와 위험 등 다각적 측면을 시장 관계자들과 논의해 보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고 평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