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리슈나 스리니바산(Krishna Srinivasan) IMF 아태국장은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글로벌 경제와 한국'을 주제로 발표하고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한국 인플레 흐름을 보면 올해 정점을 찍고, 점진적으로 2024년에 목표치 수준까지 돌아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국 경제 상황에 대해 스리니바산 국장은 "한국은 강한 펀더멘털(기초체력)이 충격을 방어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그는 "무역수지는 복원력이 있고, 경상수지 흑자와 순해외자산이 힘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고 제시했다.
부채 리스크에 대해서는 문제점으로 꼽았다. 가계부채 우려보다는 공공부채 등 재정건정성 우려를 지목했다.
스리니바산 국장은 "한국의 공공부채는 누증이 돼 있는데, GDP(국내총생산)의 55%인 상태로 앵커(anchored)된 관리가 중요하다"며 "정부는 GDP 대비 비율이 60% 이하로 관리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재정정책은 예산에 미치는 영향은 중립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