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식을 뛰어넘어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사람이 끝내 성공을 거두느냐 실패자가 되느냐는 그가 지닌 사회 지능의 두 가지 측면, 즉 익숙함과 평판에 달려있다. 이 둘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누구든 타인에게 자신의 아이디어를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긍정적인 평판을 쌓아두어야 한다. 그래야만 낯설고 불가능해 보이는 아이디어를 내놓더라도 사람들이 그의 평판을 믿고 흔쾌히 받아들여줄 것이다. 그러한 평판을 쌓은 데 도움이 되는 것이 바로 ‘익숙함’이다.
한편 반 고흐는 예술에 있어서는 반 고흐 못지않게 뛰어났지만 사람들에게 호의적이지 못했다. 그는 폴 고갱과의 언쟁 끝에 귀를 잘라내기도 했다. 피카소가 다양한 사회집단 사이를 부드럽게 순항하는 동안, 반 고흐는 가장 가까운 사람들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 조차 고역스러워했다. 그는 이질적인 세계를 거부했다.
그러나 피카소는 ‘인간자석’이었다. 너무나 많은 사람들을 알고 지냈기에 세상이 그의 손바닥에 있었다. 그의 관점에서 세상은 점점 좁아졌다. 피카소는 조직의 중심점이었고 ‘커넥터’이자 ‘설득가’였다. 그는 보기 드문 사교기술로 그 역할을 훌륭히 해내면서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세상을 점점 좁혀나갔다.
단지 몇 명의 지인만 존재하는 괴로운 세상에서 그림을 그렸던 반 고흐에게는 그의 그림을 사줄 부유한 사람들이 너무 멀리 있었다. 반 고흐는 남동생을 통해서 예술계와 주로 연결되었는데 그 연결이 그에게 생생한 성공을 안겨 줄 돈을 직접적으로 공급해주지는 못했다.
피카소의 세계는 너무나 달랐다. 예술가, 작가, 정치가를 포함한 광범위한 사회적 네트워크는 그가 절대 세상의 중심에서 동떨어진 인물이 아님을 보여준다. 피카소처럼 높은 생산성과 세상에 대한 노출을 통해 사람들이 점점 더 자신에게 익숙해지게 하고 그리고 긍정적인 평판을 쌓아 사람들이 경계심을 허물고 호의적으로 자신에게 다가오게 했다.
그림자 네트워크의 중요성
인간의 두뇌는 익숙한 것을 좋아한다. 익숙함은 뭔가에 호감을 갖게 할 가능성을 높이는 한편, 그 뭔가를 편안하게 느끼도록 해준다.코넬대학교의 컴퓨터과학자인 존 클레인버그는 좁은 세상 네트워크가 무작위 연결을 통해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했다. 메시지의 성공적인 전달을 위해 네트워크에 속한 사람들은 ‘상대가 누구와 연결될 가능성이 있는가’와 같이 다른 구성원들에 대해서도 뭔가를 알아야 했다. 아주 친하지는 않지만 서로에 대해서 알고 익숙해져야 필요할 때 지원을 해주는 일종의 비밀수첩의 역할을 하는 그림자 네트워크로서 강력한 효과를 발휘했다.
피카소는 폭넓고 익숙한 인간관계인 그림자 네트워크로 좋은 평판을 만들었고, 고흐는 그렇지 못했다.
출처: 상식파괴자(그레고리 번스 지음)
윤형돈 FT인맥관리지원센터장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