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금융감독원 ‘2021년 보험사기 적발 현황 및 향후 계획’에 따르면 20대의 보험사기는 최근 3년간 연평균 15.7% 증가했다.
물론 적발인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건 50대로, 23%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50대 비중은 지난 2019년 25.9%에서 지난해 23.0%로 매년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지난해 전체 보험사기 적발금액은 9434억원으로 전년 대비 5%(448억원) 증가했다. 가장 많은 사기 유형은 사고내용 조작으로 60.6%(5713억원)를 차지했고, 그 뒤는 고의사고 16.7%(1576억원), 허위사고 15.0%(1412억원) 등이 이었다.
보험종목별로는 손해보험 적발금액이 전년 대비 664억원 증가(8.1%)한 8879억원으로 전체의 94.1%를 차지했다. 직업별로는 회사원(19.2%), 무직·일용직(12.6%), 전업주부(11.1%), 학생(4.1%) 순으로 집계됐다. 보험설계사의 보험사기는 감소하고 있는 반면 병원 종사자 및 자동차정비업자의 경우는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보험 재정 누수 등 국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조직형 보험사기에 대한 조사를 강화할 것”이라며 “제도·업무관행 개선, 예방 교육, 홍보활동 등도 병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임유진 기자 ujin@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