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날 진행하는 ESG 채권 청약은 회사채 활황과 함께 수용예측에서 높은 경쟁률로 무난히 마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신용평가업계 한 관계자는 “한화솔루션은 당초 1500억 원의 ESG 채권을 모집할 계획”이라며 “그러나 지난주 실시한 수요예측에서 4.23 대 1의 경쟁률(1500억 원 모집에 6350억 원 주문)을 기록하는 등 높은 관심을 받아 2750억 원까지 모집 규모를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신용평가업계에서는 이번 ESG 채권 청약에 기인한 태양광 설비 고효율화, 원자재 공급 차질 개선 등으로 지난해 부진했던 실적이 올해 반등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한화솔루션 태양광 부문은 지난해 3분기 2335억 원의 누적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2019년(2235억 원), 2020년(1722억 원)과 달리 적자 전환했다. 중국 부실채권 상각, 폴리실리콘 적자 지속, 원자재 공급 차질 등이 적자 전환의 원인으로 꼽힌다.
김성진 NICE신용평가 연구원은 “한화솔루션은 태양광 모듈 기준 12.4GW(기가와트)의 생산능력을 보유, 미국·유럽 시장에서 우수한 시장 지위를 가지고 있다”며 “국내를 비롯해 중국, 말레이시아, 미국 등 다변화된 생산거점을 보유한 것도 장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난해 실적이 나쁜 것은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공급 차질, 중국 부실채권 상각, 잉곳 설비 철수, 폴리실리콘 적자 지속 등에 따른 것”이라며 “올해는 점진적인 원자재 공급 차질 개선과 고효율 설비 투자로 수익성 회복이 기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