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정은보 금감원장에 따르면, 이날 오전 서울 중구 밀레니엄 힐튼 호텔에서 손해보험사 CEO들은 정은보 금감원장에 GA 관련 제도 개선에 대해 의견을 제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손해보험사 CEO들은 GA 수수료가 과도하다는 입장과 불완전판매가 심하다는 주장을 밝혔다. 업계가 GA 제도와 관련해 어떤 의견을 제시했는지 묻는 기자의 질문에 정 원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수수료, 불완전판매 두가지를 중점적으로, GA 관련 다른 사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손해보험사 CEO들과 정 원장은 자동차보험 및 실손보험 요율, 과잉진료로 인한 보험사기, 빅테크의 보험중개시장 진출 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다만, 손해보험사 CEO들과 정 원장은 자동차보험과 실손보험의 요율 인상과 관련해 구체적인 인상률을 언급하지는 않았다. 정 원장은 “인상률 이야기는 하지 않았다”면서 “기본적으로 보험요율과 관련해선 시장에서 정하는 게 맞지만 실손보험에 3900만명이 가입했고, 자동차보험 가입은 의무화됐기 때문에 요율의 결정이 합리적으로 이뤄저야 한다는 것에 대해 상당한 관심을 갖고 있고 업계 동향을 파악하면서 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손해보험사 CEO들과 정 원장은 보험사기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눴다. 정 원장은 "기본적으로 실손보험에서 요율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서 과잉진료 부분에 대해서도 논의가 있었다"며 "과잉진료가 공적 건강보험에 부담을 주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공사보험협의체를 통해 관련부처와 긴밀하게 협의해서 정상화할 방안에 대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손해보험사 CEO 모두와 정은보 원장은 영업환경 변화 등에 대응해야 한다고 동의했으며 손해보험업계에 신성장 동력이 필요하다는 데에도 공감했다. 이를 위해 손보사 CEO들은 "금감원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해 나갈 것"이라는 의견을 같이했다.
온라인 계약전환제도 도입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뤄졌다. 소비자가 손쉽고 저렴하게 4세대 실손보험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손해보험사 CEO들과 정 원장은 이륜차보험 제도 개선 등에 대해서도 협력하기로 했다. 배달종사자 등의 보장 사각지대를 해소하려는 목적이다.
임유진 기자 uji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