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DL이앤씨에 따르면 이 사업의 공사비는 약 5754억원(VAT 제외)으로 2006년 부산항 신항 개항 이후 발주된 사업 가운데 단일 공사로는 최대 규모다. DL이앤씨 지분은 42%(약 2417억원)다.
이 사업은 가격 경쟁 없이 설계로만 평가·심의가 이뤄지는 확정가격 최상설계 방식으로 진행돼 건설사 간 치열한 기술력 경쟁으로 주목을 받았다. DL이앤씨는 항만·해안 분야 축적된 시공 경험과 차별화된 기술력을 인정받아 수주에 성공했다. DL이앤씨는 부산신항 토도 제거 공사, 부산 신항 서컨터미널 2~5단계 축조 공사 등 부산 신항 내 주요 공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다.
DL이앤씨는 부산항 신항과 진해 신항 발주 변동성을 고려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대 석재 수요량(914만㎥/년)을 예측했다. 예측된 수요량에 맞춰 연간 최대 1040만㎥ 규모 석재 생산이 가능한 지하 무인 자동화 생산 공장·시스템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안전사고·환경피해를 최소화해 석재를 차질 없이 공급해 나갈 계획이다.
욕망산이 제거된 부지 상부에는 8만5000㎡ 대규모 공원을 조성해 녹지 공간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석재공장으로 활용한 지하공간을 공사가 완료된 이후에는 데이터센터, 쇼핑센터, 스마트팜 등 고부가가치 시설을 유치할 수 있도록 시공할 계획이다. 입체적인 항만배후단지를 조성해 지역주민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배후단지 전체 가치 상승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DL이앤씨 관계자는 “설계와 시공 기술로만 평가와 심의를 거쳐 수주에 성공하며 DL이앤씨 차별화된 기술력을 인정받게 되었다”며 “향후 발주될 진해 신항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