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중 보험연구원 연구위원 동향분석실 실장은 12일, 인구구조의 양적·질적 변화에 대한 보험산업의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Next Insurance 두 번째 이슈로 '인구구조 변화와 보험산업' 보고서를 발표했다.
김세중 연구위원은 이에 대해 "고령화로 인한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보험시장 축소를 야기할 것으로 예상되며, 보험산업은 사업영역 확대를 통해 대응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인한 경제성장 둔화는 전통적 보험산업 축소를 유발하며 소득과 부의 양극화로 인해 젊은 세대의 보험가입여력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이다.
김세중 연구위원은 "새로운 세대의 등장은 기존 보험산업과 빅테크와의 경쟁 심화를 야기하고, 세대 간 소득 및 부의 양극화는 보험시장 내 소비자 집단의 이원화를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라고도 주장했다.
이어 "디지털 세대의 부상은 빅테크의 보험산업 진출을 가속화할 것이며, 빅테크는 일상적인 고객접점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종합금융서비스의 일환으로 보험을 제공하면서 시장점유율을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말했다.
이에 보험산업은 변화하는 경쟁구도에 적응하고, 고연령과 저연령 시장에서 차별화된 상품 및 판매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보험산업은 새로운 플레이어들과의 경쟁을 위해 고객접점을 강화하고 소비자에게 다양한 고객경험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핀테크 기업과의 협업 또는 기술의 내재화를 통해 디지털화를 앞당겨야 한다.
고연령 시장의 경우 건강관리 서비스, 간병·요양 서비스와 같은 예방적 서비스 영역을 강화하고 고령자에게 친숙한 대면채널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저연령 시장은 전통적 보험상품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단순화한 상품전략과 디지털 중심의 비대면 채널전략이 유효할 것이다.
김 연구위원은 "인구구조의 질적 변화는 공적 사회 보장시스템 약화를 야기해 보험산업의 사회안전망 역할을 확대할 수 있으며, 보험산업은 미래에도 ‘보험’이 소비자에게 환영받을 수 있도록 ‘보험’의 역할을 재정립해야 한다"라고 제시했다.
그러면서 보험의 본질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김세중 연구위원은 "보험산업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고령화 현상에 우리 사회가 적응해 나가는 과정에서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치매, 간병·요양 등 정신건강 관련 보장 및 서비스 강화를 통해 세대 간 부담을 완화하고 노인 중심의 사회환경을 조성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임유진 기자 uji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