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지난 12일 저축은행중앙회와 여신금융협회, 일부 저축은행, 신한·우리·삼성카드 등과 '대환대출 플랫폼 서비스 추진방안'을 논의했다.
금융결제원을 통한 '대환대출' 인프라와 기존 핀테크사들이 운영하고 있는 '대출비교' 플랫폼을 연결하는 방식이 고려되고 있다.
현재 시중은행이 대환대출 플랫폼 참여에 거부감을 표하고 있는 상황에, 2금융권도 플랫폼 참여를 꺼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드사와 저축은행은 핀테크사에 제공하는 플랫폼 수수료와 운영시간이 부담된다는 입장이다. 특히 카드사 대출은 중도상환수수료가 없어 대환대출이 이뤄질 경우 핀테크사에 내야 하는 수수료 부담이 커질 거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업권 관계자는 "저축은행 같은 경우 24시간 운영되는 대환대출 플랫폼이 차주 입장에서 좋지만, 저축은행 시스템상으로 제대로 대응할 수 있을지 염려된다"고 말했다.
또다른 업권 관계자는 "2금융권도 금융당국의 대환대출플랫폼 도입 취지에 공감하지만, 앞으로 합의점을 논의해야 할 사항들이 남아있다"고 전했다.
신혜주 기자 hjs0509@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