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의 중국 사업 부진이 시작된 것은 사드 보복이 본격화한 2017년부터다. 2016년 연간 183만대에 달하던 양사 중국 자동차 생산량은 2017년 118만대로 하락했다. 이후 중국 공장 폐쇄와 코로나 사태를 겪으며 2020년 생산량은 70만대 이하로 뚝 떨어졌다.
최근에는 양사 중국 사업 부진이 정치적 이유보다 근본적인 브랜드 경쟁력 약화에 있다는 지적이 더 설득력을 얻고 있다. 독일·일본차 기업들이 코로나 영향권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올해 시장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반면 현대차·기아 부진은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차도 칼을 빼들었다. 2019년 현대차는 내수 판매 상승을 이끌었던 이광국 사장을 중국사업총괄로 발령했다.
올해 4월 이 사장은 중국 사업 재도약을 위한 4대 전략을 발표했다. 이는 전기차·수소차 확대, 수소 사업 본격화,현지 연구개발(R&D) 강화 등을 골자로 한다. 또 현대차 고급차 브랜드 제네시스 브랜드는 올해 중국 진출을 선언하기도 했다.
이 같은 전략은 품질·기술 격차를 좁혀오는 중국 현지 브랜드와 차별화하기 위해 고급화·전동화 등 브랜드 이미지를 끌어올리는 데 집중하겠다는 의미로 분석된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