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통3사는 공인인증서 제도 폐지에 따른 고객 혼란을 줄이기 위해 간편 인증서 PASS의 고객 체감 가치를 높이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PASS 인증서는 PASS 앱이 실행 중인 상태라면 추가 확인절차 없이 터치 두 번만으로 발급받을 수 있다. 별도의 휴대폰 인증이나 계좌 인증을 추가로 거치는 타 인증서보다 발급 절차가 간단하다.
PASS 인증서를 이용하는 고객은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서 ‘간편인증 로그인’을 선택한 뒤 ‘PASS 인증서’를 골라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다. 이름, 주민등록번호, 휴대전화번호만 입력하면 스마트폰의 PASS 앱이 자동으로 인증 팝업창을 생성한다. 이용자는 6자리 핀 번호나 생체 인증을 통해 본인 인증을 완료하면 된다.

PASS 인증서는 한 번 발급 받은 인증서를 3년간 이용할 수 있다. 기존 1년마다 재발급해야 했던 공인인증서보다 편리하다. 이용하던 단말이나 통신사가 바뀌어도, 간편하게 인증서를 재발급 받을 수 있다. 이처럼 편의성과 보안성을 두루 갖춘 PASS 인증서의 누적 발급 건수는 현재 2200만 건에 달한다.
■ 정부24·국민신문고, 금융·핀테크 업체로 이용 확대
이통3사는 지난해 행정안전부와 업무협약을 맺고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외에도 정부24, 국민신문고 등에서도 PASS 인증서를 전면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PASS 인증서는 현재 공공 분야를 비롯한 대형 금융기관 및 핀테크 업계에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동양생명보험, KB손해보험, IBK연금보험, 흥국생명, ABL생명보험 등 주요 보험사에서는 보험 가입문서 간편 조회 시 PASS 인증서를 활용 중이다. 미래에셋대우는 증권사 최초로 전자투표 시스템 간소화를 위해 PASS 인증서를 도입했다.
이외에도 NH농협은행 올원뱅크를 비롯해 한국저작권위원회 디지털저작권거래소, 핀크, 세틀뱅크, KSNET, SK E&S, KT 등 100여개 기관에서 간편인증 수단으로 PASS 인증서를 활용하고 있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