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락 연구원은 "앞으로 중앙은행 긴축 행보 즉, 기준금리 인상이나 자산매입 축소를 진행하기 위한 사전적인 제반 여건으로 물가 상승 여부보다는 주식, 부동산 같은 자산시장 동향을 더욱 우선적으로 고려할 가능성이 커졌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전략적인 관점에서 단순히 물가 동향 뿐만 아니라 자산시장의 과열 징후나 특정 자산에 대한 자금의 포지션 쏠림 여부에 대해서도 예의주시를 권고한다고 밝혔다.
Fed 관계자들의 미묘한 입장 변화를 감안할 것을 주문했다.
미국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라파엘 보스틱 총재는 이르면 내년 하반기에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내다보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12월 FOMC에서 위원들의 상당수가 점도표를 통해 2023년까지 금리 동결을 예상했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빠른 인상 가능성에 대한 언급이다.
같은 날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의 로버트 카플란 총재는 "올해 연말이면 연준의 자산 매입 축소를 위한 기준을 충족하는 데 ‘실질적인 진전’이 있기를 기대한다며 "경제가 예상대로라면 연말에는 매입 축소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 연구원은 ‘코로나19 충격 극복이 최우선’에서 ‘자산시장에 대한 경고’로 기조가 변화될 가능성을 감안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최근 주식 등 자산시장이 여전히 위축된 실물 경제 동향과는 무관하게 과열 또는 과열을 우려할 정도의 동향을 이어감에 따라 통화당국 차원에서 ‘안정적 조정자’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면서 "최근 이주열닫기이주열기사 모아보기 한국은행 총재 역시 부채 수준이 높고 금융ㆍ실물 간의 괴리가 확대된 상황에서 자그마한 충격에도 시장이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경고성 메시지를 내놓은 바 있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