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푸르덴셜생명은 오는 16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다. 대상은 수석급 이상 직원으로, 1977년 이전 출생자 또는 20년 이상 근속자다. 희망퇴직자는 근속 연수 등에 따라 기본급 27~36개월치를 지급받으며 기타 생활 안정 자금도 별도로 받는다.
푸르덴셜생명이 첫 희망퇴직에 나선 표면적인 이유는 비용 절감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대면 영업 위축과 초저금리 지속,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업황 악화 등에 대응하기 위해 인력 감축 필요성이 커졌다는 것이다.
이면을 좀 더 들여다보면 채권 매각 대금 등 유보금을 처분하려는 푸르덴셜생명으로서는 지금이 그간 쌓인 과제들을 해결할 기회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푸르덴셜생명은 KB금융에 인수된 이후 미국 푸르덴셜파이낸셜 대출채권을 매각했다.
KB생명과의 통합을 앞두고 중복 인력을 줄이려는 선제적인 조치라는 시각도 있다. KB금융은 푸르덴셜생명의 그룹 내 안착과 사업 안정화를 위해 당분간 KB생명과의 합병 없이 독립적으로 운영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인수 시너지 강화 등을 위해 내년에는 푸르덴셜생명과 KB생명의 통합전략이 구체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관계자는 “예전부터 푸르덴셜생명이 설계사 수에 비해 본사 임직원 수가 많아 본사조직이 비대하다는 얘기가 있었는데 KB금융에 편입되면서 이를 해결하려고 한 것으로 보인다”며 “내년 중 KB생명과의 통합을 염두에 뒀을 수도 있지만 당장은 채권 매각 대금을 풀기 위한 차원의 희망퇴직으로 보는 게 맞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