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은 상반기 애플 마니아들의 향수를 자극하는 ‘아이폰 SE 2세대’와 아이폰12의 흥행으로 지난해 출하량보다 2950만대 늘었다. 특히 아이폰12 시리즈가 코로나19로 출시가 늦어지면서 교체 수요가 높아지고 이에 따른 기대감으로 판매량은 더욱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화웨이는 올해 2분기 삼성전자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할 정도로 급성장했지만, 미국의 제재가 강화되면서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52560만대가량 줄었다.
1분기~3분기 모두 삼성전자가 압도적인 출하량을 기록했다면, 4분기에는 아이폰12 출시 영향으로 애플이 압도적이었다.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달에만 7890만대를 출하하며,삼성전자(6200만대)를 앞섰다.
내년 스마트폰 시장은 삼성전자와 애플, 샤오미의 순위 다툼이 치열할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애플과 샤오미는 화웨이의 빈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나설 방침이다.
화웨이는 최근 중저가 브랜드 ‘아너’를 매각하면서, 올해보다 낮은 출하량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는 화웨이의 점유율이 4%까지 추락하며, 6위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전자가 올해도 1위를 차지했지만, 마냥 안정적이라고 볼 수 없다. 그간 유지해오던 20%대의 점유율이 깨지며 19.9%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이에 삼성전자는 화웨이의 빈자리를 확보하고, 아이폰12에 대응하고자 평년보다 한 달가량 이른 1월에 ‘갤럭시S21’을 공개 및 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