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유준 연구원은 "글로벌 통화 내 원화가 강세 추세를 나타내면 외국인 KOSPI 지분율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외국인 지분율은 2010년 이후 추세적으로 증가했다. 현재 지분율은 36%로 추세선(37.4%)를 하회한다고 지적했다.
팬데믹 위기에서 비중을 축소한 것도 있지만 개인의 주식시장 참여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추세선 수준의 지분율 회복을 가정하면 외국인은 현재 시가총액 기준으로 25조원 가량 추가 매수 여력이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대주주 기준이 종목 당 10억원으로 유지됐지만 개인의 매물 압력은 상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식시장 내 개인 투자자 참여도가 높고 현재 주가가 연고점이기 때문이라는 이유를 들었다.
최 연구원은 "연말에는 기관투자자가 배당 투자 및 이와 관련한 차익거래에 나서며 개인의 매물을 소화할 수 있다"면서 "배당 매력이 낮은 종목군은 외국인이나 다른 개인투자자가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