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서미화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내년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중 임상에서 효능을 입증하고 식품의약처(FDA) 허가를 받는 의약품이 나온다면 개발 및 판매, 위탁생산(CMO) 기업의 수익성은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전통제약사의 국내 매출은 3분기를 기점으로 회복세를 보였다. 국내 코로나19 확진 추세가 낮아진 영향이 충분히 반영됐다는 설명이다.
서 연구원은 “하지만 아직 코로나19 이슈는 끝나지 않았다”라며 “확진자 수 증가로 인한 병원 내원자 수의 감소, 처방약 매출의 감소는 다시 등장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코로나19는 내년에도 제약·바이오 업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서 연구원은 “코로나19 발생 후 헬스케어 업종에 대한 관심은 더 높아졌다”라며 “실제로 코로나19 위험성에 대한 인지로 독감백신, 폐렴구균 백신, 면역증강 건강기능식품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향후 치료제 또는 백신의 투약 전 진단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며 “당분간 진단키트의 수요는 증가할 수 있을 것”이라며 “백신, 치료제 중 임상에서 효능을 입증하고 FDA허가를 받는 의약품이 나온다면 개발 및 판매, CMO 기업의 이익은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삼성바이오로직스, 유한양행, 한올바이오파마를 헬스케어 업종 내 최선호주로 꼽았다.
서 연구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CMO 경쟁력을 충분히 입증했다”며 “고객사들의 임상 진행단계에 따라 계약금이 충분히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유한양행은 레이저티닙의 임상 진행이 매우 순조로우며, 본업 또한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며 “한올바이오파마는 내년 HL161(희귀자가면역질환치료제)의 중증근무력증 임상 3상 진입 및 온난항체용혈성빈혈 및 갑상선안병증 임상 2상 결과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