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혜현 연구원은 "정부는 추경 통과가 늦어지더라도 캠코채를 우선 발행해 자산매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히는 등 신속한 정책 실행 의지를 보였다"면서 이같이 내다봤다.
그는 "캠코채의 경우 발행한도가 2조원으로 기금채 한도 40조원대비 크지 않다"면서 "또한 캠코채의 경우 자산관리공사가 설립법인 ‘금융회사부실자산 등의 효율적 처리 및 한국자산관리공사의 설립에 관한 법률’ 제 33조에 의해 정부의 사채 원리금 상환을 보증받고 있어 정부 지원가능성이 높긴 하나, 기금채와 달리 정부 보증채는 아님에 따라 상대적으로 금리 메리트는 높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상대적으로 발행 소화는 원활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캠코는 지난 2009년 구조조정기금을 설치해 기업자산 0.5조원, 부실채권 5.7조원을 인수해 건설 및 해운사 등을 지원한 바 있다. 2015년 이후에는 자산매입 후 임대(Sales & Leaseback, S&LB) 프로그램을 통해 39개사에 4,963억원을 지원해왔다(19년 말 기준).
지원대상으로는 최근 예비입찰에서 참여자가 없었던 대한항공의 송현동 부지와 항공기, 두산그룹의 두산솔루스 등 계열사와 클럽모우, 모트롤BG 사업부, 쌍용차의 물류센터, 인재개발원 등이 거론되고 있다.
한편 지난 11일 금융위원회는 캠코를 지원주체로 한 기업 자산매각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기업들의 보유자산 매각 등을 통한 유동성 확보 노력이 진행 중인 가운데 시장 경색 및 매각 물량 증가에 대비해 적정가격에 매각자산을 매입할 수 있는 수요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