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화재 부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21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자동차리콜 현황 및 사고기록장치 개선 필요성' 연구보고서를 공개했다.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동안 국토교통부 자동차 리콜센터에 접수된 자동차 제작결함 신고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다.
우리나라는 자동차 제작결함 규명 등을 위해 EDR을 도입했으나 국내에서 의무 장착 사항이 아니다 보니 결함이 의심되는 사고임에도 객관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생겼다. 또 사고차량 차주, 운전자 및 직계 가족이 EDR 데이터를 요청하면 관련 보고서를 받을 수 있게 돼있으나 역시 세부요청 절차나 제공 방식이 명확치 않아 사용 활성화를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연구소는 "경찰이나 보험사 등에 자료공개를 위임한 경우에도 제작사는 차주에게만 정보를 제공해 신속한 사고조사 시행의 어려움과 소비자의 불편이 생기고 있는 실정"이라며 "신속한 결함 판단을 위해 사고기록장치 장착 의무화 및 공개범위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박요한 수석연구원은 "자율주행기능 등 차량이 첨단화 되면서 소프트웨어 오류 등 전기∙전자 장치에 의한 결함 사고 증가가 많아질 것"이라며 "자동차 결함 여부 조사를 목적으로 도입된 사고기록장 치의 의무 장착과 활성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유정화 기자 uhwa@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