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일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26일 “이주열 한은 총재가 상황이 악화해 수출이나 설비투자 부진 상황이 더 심화한다면 수정 전망치(2.2%) 달성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발언한 만큼 추가 인하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기획재정부에서 지난 16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8월호’에 따르면 6월 전(全) 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0.7%, 소비판매는 1.6% 감소했다. 특히 국내 승용차 내수판매량(-3.7%), 백화점 매출액(-3.4%), 할인점 매출액(-10.7%) 등 대부분의 내수 지표도 하락세를 나타냈다.
정 연구원은 “소비자와 기업의 심리도 냉랭한 시점”이라며 “지난달 소비자동향지수(CSI)는 전월보다 1.6포인트 하락하면서 95.9를 기록했고,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역시 2포인트 하락하며 73으로 떨어져 올해 중 최저점에 있는 것이 확인된다”고 언급했다.
정 연구원은 “무역분쟁 역시 점점 격화되고 있는 부분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며 “이와 같은 이슈는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에 있어서 매우 부담스러운 상황인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대내외 환경을 회복시키기 위해 교역조건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준금리 인하는 원화 가치를 변화시켜 교역조건까지 회복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며 “물량 기준 수출 추이는 오히려 회복세가 시현되고 있는 만큼 가격적인 측면에서 개선을 유도한다면 일정 수준 경기 방어가 가능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