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 김동관기사 모아보기 한화큐셀 전무가 올해 10년째 발 딛은 다보스포럼 현장에서 지속가능 경영 실현 방안과 태양광을 비롯한 신재생 에너지 산업 발전 방안 공감대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김동관기사 모아보기 한화큐셀 전무가 올해 10년째 발 딛은 다보스포럼 현장에서 지속가능 경영 실현 방안과 태양광을 비롯한 신재생 에너지 산업 발전 방안 공감대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김동관 전무는 특히 유럽과 아시아 정계와 경제계 고위층들과 연쇄 회동 강행군으로 이어지는 광폭 행보를 보이고 있다.
한화그룹 한 관계자는 "김동관 전무를 비롯한 주요경영진들은 전 세계에서 온 정·재계 글로벌 리더들과 50여 차례의 비즈니스 미팅을 진행했다"며 "혁명적인 변화의 시기에 한화그룹의 글로벌 사업역량을 제고했다"고 전했다.
22일 첫날 김 전무는 필립(H.M Philippe) 벨기에 국왕과 만나 유럽의 신재생 에너지 시장전망과 향후 지구 온난화라는 전 지구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놓고 의견을 나눴다. 벨기에는 2025년까지 원자력발전소를 완전 폐기하고, 2030년까지 전체 전력 생산량 가운데 신재생에너지로 20%확충하려는 목표를 갖고있다.
다렐 레이킹(Darrell Leiking) 말레이시아 통상산업부 장관과 만나서는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방안에 대해 토의했다.
22일 김 전무는 독일 그리드 싱귤래리티(Grid Singularity)의 애나 트라보비치(Ana Trobovich) COO(Chief Operating Officer)와 만나 에너지 산업과 전력 시장의 거대한 재편에 대응하려면 IT 기술과 블록체인 기술을 어떻게 활용하는 게 좋을지 묻고 답했다. 독일 그리드 싱귤래리티는 에너지 시장에서 블록 체인 활용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쩐 뚜엉 아잉(Tran Tuan Anh)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과도 만나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지역 태양광 공급 확대를 위한 협력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박주석 기자 jspark@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투명성 낙제점 DB지주,김준기 지배력 여전 [기업지배구조 보고서]](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setimgmake.php?pp=006&w=284&h=214&m=5&simg=2025101804481307397dd55077bc212411124362.jpg&nmt=18) 
								![방산 ‘극과 극’…한화에어로 vs KAI 차이나는 이유 [정답은 TSR]](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setimgmake.php?pp=006&w=284&h=214&m=5&simg=2025100313192301779dd55077bc212411124362.jpg&nmt=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