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한국은행이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4월) 중 '최근 가계부채 상황 점검' 리포트에서 한은은 "가계부채가 누증되어 있는 상황에서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정상화 등의 영향으로 시장금리가 상승할 경우 가계의 이자부담이 크게 늘어날 우려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다만, 한은은 가계부채 문제가 금융시스템 전반의 위험으로 번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내다봤다. 가계부채가 상환능력이 높은 계층에 집중돼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말 가계대출 중 고소득·고신용 차주의 대출 비중은 각각 65.9%, 68.7%로 조사됐다.
문제는 취약차주다. 취약차주는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았으면서 신용등급이 7~10등급에 해당되거나 소득 하위 30%에 해당하는 가계차주다. 이들의 부채규모와 그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취약차주의 부채 규모는 지난해 말 82조7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조 가량 증가했다. 취약차주 수는 150만명으로 3만3000명 늘어났다.
이어 한은은 "가계부채의 총량이 이미 높은 수준에 있는 점, 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계속 상승하고 있는 점 등에 비추어 금융불균형 누적에 대한 우려가 상존한다"며 "가계부채의 증가속도 추이나 건전성을 악화시킬 수 있는 여러가지 요인 변화를 주의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구혜린 기자 hrgu@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